백악관 "잘못된 방향으로 가는 심각한 행동"
6자회담 복귀 촉구.."추가 인센티브는 없어"


미국 행정부는 14일 북한이 장거리 로켓발사를 비난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의장성명 채택에 반발해 6자회담 불참과 핵프로그램 재가동을 선언한 것과 관련, 북한은 `도발적 위협'을 중단하고 6자회담에 복귀하라고 촉구했다.

또 미 행정부는 북한의 6자회담 복귀를 유도하기 위한 새로운 인센티브 제공은 없을 것이라고 밝혀 잘못된 행동에 대한 `보상'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로버트 기브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북핵 폐기를 위한 6자회담 불참을 선언하고, 핵프로그램의 재가동을 선언한 것은 잘못된 방향으로 가는 심각한 행보"라고 지적하고 "핵무기 추구를 검증 가능한 방식으로 포기하지 않으면 국제사회 일원으로 편입되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북한에 대해 도발적 위협을 중단하고 국제사회의 뜻을 존중하면서 국제사회에 대한 약속과 의무를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기브스 대변인은 "6자회담은 북한에 대해 대화를 통해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편입될 수 있는 최상의 길을 제시해 왔다"면서 "미국은 북한 및 주변국들과 6자회담을 통해 긴장을 완화하고 한반도에서 핵무기를 제거하기 위해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국무부도 북한에 6자회담 복귀를 거듭 촉구하면서 미국과 국제사회는 6자회담이 비핵화의 진전을 이루기 위한 최상의 틀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로버트 우드 국무부 부대변인은 "안보리 의장 성명도 6자회담 조기 재개와 검증 가능한 한반도 비핵화, 2005년 공동성명에 대한 완전한 이행을 촉구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그는 북한을 6자회담에 복귀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인센티브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북한은 6자회담을 통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받았다"면서 "북한이 그러한 인센티브를 수용하길 원하느냐 않느냐는 결정을 내려야 한다며 그것은 북한의 문제"라고 말해 6자회담 재개를 위해 북한에 새로운 인센티브 제공 의사가 없음을 시사했다.

우드 부대변인은 안보리 의장 성명외에 또 다른 국제사회의 대응이나 한국과 미국, 일본 등 개별 정부의 조치가 나올 가능성에 대해서는 "기다려봐야 한다"고만 말했다.

한편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날 북한이 영변 핵 불능화 작업에 관여하고 있는 핵불능화 검증요원들에 대한 추방령을 내리고, 모든 핵시설을 재가동 중이라는 사실을 통보해 왔다고 발표했다.

IAEA는 이날 성명을 통해 북한이 영변 핵 불능화 작업에 참여중인 사찰요원들에게 봉인과 카메라의 제거방침을 알리는 등 핵사찰에 관한 협력을 전면 중단할 것임을 선언하고, 사찰요원들이 가급적 빠른 시일내에 북한을 떠나도록 통보했다고 말했다.

앞서 북한은 유엔 안보리의 의장성명 채택에 반발해 북핵 6자회담 불참과 기존 6자회담 합의 파기를 선언하고, 사용후 연료봉 재처리 및 자체적인 경수로발전소 건설 등의 강경 입장을 밝혔다.

(워싱턴연합뉴스) 김재홍 황재훈 특파원 jaeh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