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는 웃고 대형 건설사들은 울고….'

포스코가 하도급거래 등 협력업체와의 상생경영 부문에서 최고 등급인 'A+'를 받았다. 반면 극심한 불황에 시달리고 있는 건설업체들은 상생경영이 미흡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5일 하도급 공정거래협약을 체결한 8개 대기업의 지난해 1년간 이행실적을 평가한 결과 포스코가 95점 이상으로 A+등급(최우수),포스코건설이 90~95점으로 A등급(우수),GS건설과 현대건설이 85~90점으로 B등급(양호)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하도급업체와 거래 조건을 개선하기로 한 약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대림산업 두산건설 롯데건설 현대산업개발 등 4개 건설사는 C등급(미흡,85점 미만)으로 평가됐다.

하도급 공정거래협약은 대기업과 협력사가 공정거래 및 상호협력을 약속하고 그 이행상황을 공정위가 1년 주기로 점검 · 평가하는 제도로 현재 14개 기업집단 89개 대기업이 3만4764개 협력사와 체결한 상태다.

이번 평가에서 최고 등급 판정을 받은 포스코는 지난해 협력사에 총 2787억원의 자금을 지원한 것으로 파악됐다. 은행과 연계해 다양한 종류의 펀드를 만들어 협력사에 저리로 1933억원의 대출 지원을 했다.

또 하도급업체의 투자금과 장비 구매자금 확보를 돕기 위해 은행과 네트워크론(은행이 하도급업체에 미리 대금을 지급하고 나중에 포스코가 은행에 갚는 방식)협약을 체결한 뒤 123개사에 총 654억원의 대출을 알선해줬다. 설비 투자여력이 부족한 36개 협력사에는 연 1%의 저리로 200억원을 빌려주기도 했다.

포스코는 또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자 245개 협력사에 대해 납품단가를 944억원 정도 인상,원가상승 부담을 덜어줬다. 중소 협력사의 기술개발을 돕기 위해서도 4억원을 지원했다.

이번 평가에서 포스코건설도 총 77억원의 자금을 협력사에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부도를 낸 뒤 기업회생절차를 진행하는 한 기업에도 23억원 규모의 공사 계약을 두 건 맺었다. 하지만 이를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은 협력사에 대한 자금 지원이 없었다.

서남교 하도급정책과 서기관은 "당초 협약을 체결하면서 각종 자금 지원책을 내놓았지만 건설경기 침체가 심화되면서 실질적인 자금지원이 이뤄지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