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15일 노무현 전 대통령 측이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으로부터 넘겨받은 500만달러의 대가성을 입증하는 데 향후 수사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홍만표 대검 수사기획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경남은행 인수 시도 과정에 노 전 대통령 측이 어떤 영향을 끼친 것이 없는지 총괄적으로 보고 있다"며 "(당시) 청와대와 박 회장의 업무 연관성을 전반적으로 살피는 과정"이라고 밝혔다. 즉 검찰이 노 전 대통령의 조카사위 연철호씨와 아들 건호씨가 박 회장으로부터 받은 500만달러에 대해 노 전 대통령에게 포괄적 뇌물수수 혐의를 적용할 증거를 수집하고 있는 것이다.

검찰은 연씨가 받은 500만달러 외에도 노 전 대통령 측이 받은 100만달러 등이 사실상 박 회장이 2006년 농협 자회사인 휴켐스 인수,30억달러 규모의 베트남 화력발전소 건설사업 수주 등 노 전 대통령 측이 제공한 여러 편의에 대한 답례라고 결론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날 박 회장의 경남은행 인수 시도 과정을 조사하기 위해 당시 인수추진위원장을 맡았던 박창식 창원상공회의소 회장을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 조사했다. 경남 · 울산상공회의소는 2005년부터 박 회장이 경남은행 1대 주주로 참여하는 것을 전제로 적극 공세를 펼쳐 당시 청와대 관계자 등이 박 회장을 물밑에서 지원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었다.

검찰은 이와 함께 이날 대전지검이 횡령 등 혐의로 구속한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의 신병을 넘겨받아 직접 조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서울구치소로 이감된 강 회장을 16~17일 이틀간 조사할 예정이며 강 회장이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정상문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과 함께 노 전 대통령의 퇴임 후를 논의했다는 '3자 회동' 내용과 ㈜봉화에 투자한 70억원의 출처와 사용처에 대해 집중 수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강 회장과 박 회장,정 전 비서관과의 3자 대질신문을 벌여'3자 회동'의 내용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확인할 계획이다.

강 회장은 안희정 민주당 최고위원,윤태영 전 청와대 대변인,여택수 전 청와대 행정관에게 수천만~수억원을 건넸으며 검찰은 이 과정에서 청탁 등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 중이다.

검찰은 이날 정 전 비서관을 구속영장 기각 이후 처음 불러 조사했으며 추가적인 혐의사실이 있음을 시사했다. 홍 기획관은 "(정 전 비서관이 권양숙 여사에게 건넸다는 100만달러 외에 3억원은) 정 전 비서관의 것으로 보이며(100만달러와 3억원을 전부 권 여사가 받았다는 것은) 정 전 비서관의 혐의를 가볍게 하기 위한 (노 전 대통령 측의) 전략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검찰은 노 전 대통령의 조카사위 연씨는 필요한 조사를 모두 마쳐 추가 소환할 계획이 없고 향후 건호씨에 대해서만 1~2차례 추가 조사를 벌이겠다고 밝혔다. 노 전 대통령 측은 "연씨가 박 회장에게서 500만달러를 투자받았을 뿐 건호씨는 무관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나,검찰은 500만달러 중 250만달러가 건호씨가 대주주인 '엘리쉬&파트너스'를 통해 해외 기업 또는 국내에 투자된 사실을 확인하는 등 이들이 사실상 사업을 공동 운영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검찰은 박 회장 주변 인물들에 대한 수사를 모두 마치는 대로 노 전 대통령을 이르면 다음 주 중 대검 청사로 공개 소환할 방침이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