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출을 모면한 상장사가 줄줄이 사명을 바꾸면서 올 들어 코스닥시장에서 49개사가 상호 변경을 공시했다. 이들 중 상당수가 실적 악화나 부정적인 이미지를 감추기 위한 것이어서 투자에 유의하라는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들어 17일까지 상호 변경을 공시한 코스닥 상장사는 모두 49곳에 달했다. '기업이미지 제고'를 위한 상호 변경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러나 부실기업 이미지를 떨쳐내려는 의도로 사명을 바꾸는 사례가 많다는 게 증권업계의 지적이다.

특히 퇴출 위기를 모면한 기업이 회사 이름을 바꾸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감사의견 거절 사유가 해소돼 퇴출 위기에서 벗어난 그랜드포트는 최근 사명을 '룩소네이트'로 변경했다. 상장폐지 사유가 해소된 아이오셀도 '아이드림'으로 간판을 바꿔 달았으며,루멘디지탈은 '디보스'로 사명을 고쳤다. 최근 관리종목에서 해제된 썬트로닉스는 '유퍼트'로 변경한다. 한편 뉴켐진스템셀(옛 온누리에어), 클리핑(옛 팬텀엔터테인먼트) 등은 상호를 바꿨지만 결국 퇴출이 결정된 경우다.

조재희 기자 joyj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