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경기회복 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빠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와 주목된다. OECD가 최근 발표한 30개 회원국 경기선행지수(CLI)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 2월 CLI가 94.5로 1월에 비해 1.6포인트 개선되면서 상승폭이 가장 크게 나온 것이다. 경제위기의 조기 극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조사결과로 볼 수 있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산업활동동향과 주택 동향,금융 · 통화 현황,국내총생산(GDP) 등의 흐름을 복합적으로 계산한 것으로,보통 6개월 후의 경기상황에 대한 예측 지표로 쓰인다. 이번 조사에서 우리나라 CLI 증가폭이 두드러진 것은,지난 2월 광공업 생산의 감소세 둔화(鈍化)와 서비스업 생산 호전,외환시장과 주식시장의 급격한 안정세 회복 등 긍정적 요인을 반영하고 있다.

최근 일각에서 우리 경제의 조기회복론이 잇따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30억달러 규모의 외평채 발행, 경상수지 흑자기조 반전 등으로 위기감이 상당부분 해소되면서부터다. 그럼에도 이 같은 경기회복론은 지나치게 성급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OECD보고서에서 회원국 평균 CLI는 한 달 전에 비해 0.7포인트 낮아졌고,선진 7개국 경기도 하강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세계경제 전반에 대해서는 여전히 어둡게 보고 있는 까닭이다.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이고 보면 이 같은 조기 경기 회복론이 오히려 불안한 이유다.

고용과 소비,투자 등의 내부적인 경제지표 역시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금명간 발표할 세계경제 전망에서 우리나라의 내년 성장률을 당초의 4.2%에서 대폭 하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것만 보아도 그렇다.

아직 경기회복에 대한 낙관은 금물이라는 얘기다. 지금은 오히려 경기부양을 위한 정책 드라이브에 더욱 힘을 쏟지 않으면 안될 때다. 추가경정예산이 차질없이 투입되도록 하는 것이 급선무이고,재정지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고용창출 효과와 투입대비 산출효과가 큰 사업에 우선적으로 돈을 배분해야 한다. 규제개혁을 통한 기업환경 개선,산업의 체질강화를 위한 구조조정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섣부른 낙관론에 귀를 기울이다 때를 놓쳐선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