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1 ] 해외 직접투자에 수반되는 정치적 위험(political risk)과 국가적 위험(country risk)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정치적 위험의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위험노출 대상은 해외에 직접 투자한 현지법인과 그 자산이다.

②위험노출 자산은 정부나 민간에 대한 대출자본이다.

③위험노출 기간은 사실상 무기한이다.

④이러한 위험의 유형에는 수용이나 국유화도 포함된다.

⑤이러한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현지기업과 합작하거나 제휴를 맺기도 한다.


[ 문제2 ] 다음 중 기업이 경영전략을 수립할 때 고려할 요소가 아닌 것은?

①기업의 강점,약점 및 자원 분석 ②외부환경 분석 ③장기적인 비전 설정

④경쟁사 전략에 대한 이해 ⑤전략의 실행


[ 문제1 해설 ] 해외 투자는 일반적으로 투자자의 경영 참가 여부에 따라 직접투자와 간접투자로 구별한다. 투자 현지에 경영 참가를 목적으로 자본 생산시설 기술 등 생산요소를 현지에 이전시키는 것을 해외 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라고 하며,경영에 참가하지 않고 단순히 이자 주식배당 등 투자과실의 획득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를 해외 간접투자 (foreign portfolio investment) 라고 한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는 해외 직접투자에 대해 '지속적인 경제적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으며,피투자기업의 경영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투자'라고 정의했다.

위험노출 대상은 해외에 직접 투자한 현지법인과 그 자산이며 위험노출 기간은 사실상 무기한이다. 정부나 민간에 대한 대출자본은 해외 간접투자에 속한다.

정치적·국가적 위험의 유형에는 수용이나 국유화,전쟁 위험,국지적 소요 등이 포함되며 이런 위험을 회피하고 분산하기 위해 현지 기업과 합작하거나 제휴를 맺기도 한다. 정답 ②


[ 문제2 해설 ] 기업 경영에서 전략이란 장기간에 걸쳐 기업의 운명을 좌우할 만한 목표를 세우고 수행하는 것이며,전술이란 이런 전략을 실행하는 과정이나 구체적인 방법을 뜻한다.

경영전략을 세울 때는 기업의 강점과 약점 등을 파악하고 경쟁사의 동향도 살펴야 하며 외부 환경도 분석해야 한다. 장기적인 비전도 설정해야 한다. 전략의 실행은 전술의 영역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전략 수립 때 고려할 요소는 아니다. 정답 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