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추가 구제금융을 받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크라이슬러의 운명이 파산 쪽으로 급격히 기울고 있다.

23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는 자구안 마련 시한으로 제시했던 30일까지 기다리지 말고 다음 주 파산보호 신청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하라고 크라이슬러에 지시했다.

이는 피아트와의 제휴협상 타결이나 채권단과의 채무조정 협상 결과에 관계없이 법원의 파산보호(기업회생절차) 상태에서 정상화를 추진하겠다는 뜻이다. 크라이슬러가 파산보호 절차를 밟으면 일단 채무 상환이 중단되고 피아트도 경쟁력 있는 생산라인을 선별해 인수할 수 있게 된다. 대신 정부는 공장 가동에 필요한 운영자금을 지원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자구계획 수정안 제출 시한을 일주일 남겨둔 가운데 미 정부가 확고한 의지를 드러낸 만큼 크라이슬러와 채권단 및 전미자동차노조(UAW) 간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하지만 협상 당사자들 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파산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는 분위기다.

미 정부는 크라이슬러가 안고 있는 약 70억달러의 부채 중 60억달러를 탕감해줄 것을 채권단에 요구하고 있으나 채권단은 24억달러만 면제해줄 수 있다고 맞서고 있다.

크라이슬러 파산보호 신청이 이뤄지면 제너럴모터스(GM)도 6월1일 이전에 파산 절차를 통한 정상화에 들어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한편 포드는 24일 1분기 순손실이 14억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보다 적은 것으로,포드는 현금 지출을 37억달러로 줄인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뉴욕=이익원 특파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