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억 中 대륙은 지금 '3G 이통 서비스' 전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中 업체 이달부터 서비스…경기부양 위해 시기 앞당겨
삼성·LG·노키아 시장 선점전
삼성·LG·노키아 시장 선점전
중국 정부가 첨단 무선통신인 3G 서비스를 조기에 개시,중국 통신 시장에 3G 대전(大戰)이 시작됐다.
삼성전자는 노키아를 제치고 중국 휴대폰 시장 1위에 도전한다는 전략이다. LG전자 역시 3G를 발판으로 수년 내 톱 3에 진입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SK텔레콤은 동영상 등 부가서비스 시장에 진출,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든다는 방침이다. 중국 정부의 자국 업체 밀어주기와 글로벌 업체의 공세가 변수이긴 하지만 기술력과 운용능력 면에서 우위에 있는 만큼 '큰 승부'를 걸어보겠다는 생각이다.
중국의 3대 통신사업자 중 차이나텔레콤은 지난 9일부터 3G 전국 서비스에 들어갔다. 차이나모바일은 이달 말부터,차이나유니콤은 오는 6월 중 전국 서비스에 들어간다. 중국 정부가 경기부양을 목표로 서비스 개시를 연말에서 대폭 앞당겼기 때문이다.
이들 3대 통신사업자는 서비스 방식이 모두 다르지만 이게 한국 기업들에는 큰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차이나텔레콤은 CDMA,차이나유니콤은 GSM, 차이나모바일은 중국형 통신기술인 TD-SCDMA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유럽 기업인 노키아 등은 GSM 쪽에 강하고 중국 로컬 업체는 TD-SCDMA형만 만들 수 있지만 삼성과 LG는 세 가지 모두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 기업들은 이미 3개 통신업체에 휴대폰 납품을 신청한 상태다. 중국 정부의 자국 산업 밀어주기만 없다면 가입자 시장의 20~30%는 기본적으로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과 LG는 3G 서비스 본격 개시에 따라 휴대폰 시장 석권을 위한 실전모드에 들어갔다. 하루 24만대의 휴대폰을 쏟아내는 중국 톈진시 시칭에 위치한 삼성전자 톈진공장은 생산제품의 15~20%를 3G형으로 만들고 있다.
김혁철 총경리는 "작년 올림픽 개막에 맞춰 시범서비스가 실시되면서 3G 휴대폰을 공급하기 시작했다"며 "시장 상황에 따라 제품을 탄력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생산체제를 정비했다"고 말했다.
LG전자는 마케팅 강화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마케팅 투자를 두 배 이상 확대하고 △공급제품 수를 대폭 늘리는가 하면 △유통망도 두 배로 키우는 트리플더블 전략을 수립했다. SK텔레콤은 3G 부가서비스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화상통화 모바일쇼핑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 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보고 한국에서의 운용 경험을 살려 적극적으로 시장에 뛰어든다는 계획이다.
중국 정부는 3G 통신을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지정,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올해만 1700억위안(약 34조원)을 관련 분야에 투자하고 3년 내 총 3000억위안(약 60조원)을 쏟아부을 계획이다.
중국의 휴대폰 가입자는 13억 인구의 절반가량인 6억7000만명에 달하고 있다. 업계에선 기존 휴대폰 가입자 중 상당수가 3G 서비스를 이용할 것으로 보여 3G 휴대폰 시장이 3년 안에 1억대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
삼성전자는 노키아를 제치고 중국 휴대폰 시장 1위에 도전한다는 전략이다. LG전자 역시 3G를 발판으로 수년 내 톱 3에 진입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SK텔레콤은 동영상 등 부가서비스 시장에 진출,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든다는 방침이다. 중국 정부의 자국 업체 밀어주기와 글로벌 업체의 공세가 변수이긴 하지만 기술력과 운용능력 면에서 우위에 있는 만큼 '큰 승부'를 걸어보겠다는 생각이다.
중국의 3대 통신사업자 중 차이나텔레콤은 지난 9일부터 3G 전국 서비스에 들어갔다. 차이나모바일은 이달 말부터,차이나유니콤은 오는 6월 중 전국 서비스에 들어간다. 중국 정부가 경기부양을 목표로 서비스 개시를 연말에서 대폭 앞당겼기 때문이다.
이들 3대 통신사업자는 서비스 방식이 모두 다르지만 이게 한국 기업들에는 큰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차이나텔레콤은 CDMA,차이나유니콤은 GSM, 차이나모바일은 중국형 통신기술인 TD-SCDMA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유럽 기업인 노키아 등은 GSM 쪽에 강하고 중국 로컬 업체는 TD-SCDMA형만 만들 수 있지만 삼성과 LG는 세 가지 모두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 기업들은 이미 3개 통신업체에 휴대폰 납품을 신청한 상태다. 중국 정부의 자국 산업 밀어주기만 없다면 가입자 시장의 20~30%는 기본적으로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과 LG는 3G 서비스 본격 개시에 따라 휴대폰 시장 석권을 위한 실전모드에 들어갔다. 하루 24만대의 휴대폰을 쏟아내는 중국 톈진시 시칭에 위치한 삼성전자 톈진공장은 생산제품의 15~20%를 3G형으로 만들고 있다.
김혁철 총경리는 "작년 올림픽 개막에 맞춰 시범서비스가 실시되면서 3G 휴대폰을 공급하기 시작했다"며 "시장 상황에 따라 제품을 탄력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생산체제를 정비했다"고 말했다.
LG전자는 마케팅 강화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마케팅 투자를 두 배 이상 확대하고 △공급제품 수를 대폭 늘리는가 하면 △유통망도 두 배로 키우는 트리플더블 전략을 수립했다. SK텔레콤은 3G 부가서비스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화상통화 모바일쇼핑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 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보고 한국에서의 운용 경험을 살려 적극적으로 시장에 뛰어든다는 계획이다.
중국 정부는 3G 통신을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지정,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올해만 1700억위안(약 34조원)을 관련 분야에 투자하고 3년 내 총 3000억위안(약 60조원)을 쏟아부을 계획이다.
중국의 휴대폰 가입자는 13억 인구의 절반가량인 6억7000만명에 달하고 있다. 업계에선 기존 휴대폰 가입자 중 상당수가 3G 서비스를 이용할 것으로 보여 3G 휴대폰 시장이 3년 안에 1억대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