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4.29 재보선을 통해 원내 진입에 성공한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의 복당 여부를 놓고 논란을 빚고 있다.

정 전 장관은 당선 일성으로 복당 카드를 꺼내들었지만 당 지도부가 이에 반대, 주류와 비주류간 계파 갈등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
정 전 장관은 30일 전주 완산갑에서 무소속으로 동반 당선된 신 건 후보와 함께 대리인을 통해 전북도당에 복당 신청서를 제출하고 `복당 투쟁'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졌다.

정 전 장관은 당선 직후 "당에 입당해 강한 야당을 만들겠다"고 복당 의지를 강하게 내비쳤다.

다만 정 전 장관은 당분간 당선사례차 전주에 머물면서 호흡조절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당내 비주류연합체격인 민주연대는 이날 회의를 열어 당내 분란 조기 해소 등을 위해 정 전 장관의 복당 문제를 조기 매듭지어야 한다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할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연대 공동대표인 이종걸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전주의 민심이 정세균 대표 체제를 탄핵한 만큼 지도부는 겸허히 (복당을) 수용해야 한다"며 "지도부는 전주에서 심리적 분당에 가까운 사태를 만들어낸 데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지도부는 완승할 수 있었던 선거를 어렵게 끌고 간데 대해 책임을 통감하고 당 쇄신을 위한 대통합적 견지에서 정기국회 이전에 전당대회를 열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주류측은 복당 불가 원칙을 고수하는 등 기존 입장을 견지하고 있어 타협점을 찾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노영민 대변인은 라디오 방송에서 "지금으로선 탈당한 경우 1년이 지나야 복당이 가능하도록 돼 있는 당헌.당규에 따라 원칙대로 처리할 것이라는 말밖에는 할 수 없다"고 밝혔다.

386 핵심 인사는 "당을 분열시킨 사람에 대한 복당은 없다"고 못박았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hanks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