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하는 공기업] 자산관리공사‥금융회사 부실채권 인수 등 경제위기 발빠른 대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한국 경제는 미국발 서브프라임 사태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코스피지수 폭락,대규모 아파트 미분양 사태,서민층 가계대출 연체로 인한 금융사 부실채권 급증 등 등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혼돈에 빠졌다.
이러한 위기에서 빛을 발한 금융 공기업이 자산관리공사(캠코)다. 캠코는 외환위기라는 화마(火魔)를 처리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이번 금융위기에도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가장 먼저 금융 불안의 뇌관으로 지적되던 1조7000억원 규모 저축은행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채권을 인수했다. 더불어 2008년 4분기에만 9700억원의 금융사 부실채권을 인수해 금융계의 건전성 확보를 지원했다.
위기 당시 캠코의 발빠른 대응은 외환위기 당시 111조원에 이르는 거대한 규모의 부실채권을 처리했던 경험에서 비롯된다. 사상 유례없는 대규모 종금사 및 은행 퇴출로 금융권은 완전히 얼어붙었고 살아남은 은행들도 기업 연쇄 도산에 따른 부실채권의 무게에 눌려 질식 상태였다. 잇따른 대기업 부도로 휘청이던 금융회사들을 '클린 뱅크'로 탈바꿈시킨 것이 바로 캠코다. 거대한 양의 부실채권을 인수해 국제입찰,인수 · 합병(M&A),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 등으로 부실채권 인수에 소요된 자금보다 4조원이 많은 43조2000억원을 회수했다. 이 과정에서 캠코는 국제적으로 최고의 부실채권 정리기관으로 재탄생했으며 최근 주요 20개국(G20) 금융정상회의에서도 부실채권 정리의 우수 사례로 소개됐다.
캠코의 경제 안정화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한 정부는 이달 40조원 규모의 구조조정기금을 설치하기로 했다. 대규모 자금이 일시에 소요되는 기업 구조조정 지원을 통해 금융사가 기업 부실채권으로 인해 부실화되는 것을 예방하겠다는 조치다. 즉 기업들의 비업무용 자산인 건물,토지 등을 매입해 기업들의 구조조정을 지원하겠다는 의미다. 기업들의 부도 등이 금융회사에 전이돼 실물경제에 혼란을 주는 사태를 막겠다는 의도도 담겨 있다.
구조조정기금이 맡게 될 첫 임무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해운산업 구조조정이다. 캠코는 구조조정기금 자원으로 선박펀드를 조성해 구조조정 과정에 있거나 퇴출되는 해운업체의 선박 매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선박 매입을 통해 업체들의 자금난을 해소시켜 국제 해운시장에서 국내 해운업체들의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캠코는 서민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한 신용 회복 사업에도 힘쓰고 있다. 금융사로부터 7000억원을 출자받아 조성한 재원으로 지난해 9월 신용회복기금을 설립했다. 4월 말까지 금융 소외자 65만여명의 연체 채권 4조원어치를 매입해 약 2만5000명의 채무를 최장 8년까지 분할 상환할 수 있도록 채무재조정을 수행했다.
또 연 30% 이상의 고금리 대출 상품 이용자 5000여명에게 신용보증을 해 줘 은행의 저금리 대출로 전환토록 함으로써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들의 경제활동 정상화를 지원했다. 이달 중 채무재조정 지원금액을 1000만원에서 3000만원으로 확대해 좀 더 많은 금융 소외자들이 기금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처럼 업무가 급증하고 회사의 위상이 어느 때보다 높아진 지금 이철휘 사장은 직원들에게 "우리에게 기회는 위기다"고 강조한다. 캠코 관계자는 "위기가 기회라는 말은 들어봤어도 기회는 위기라는 말은 생소한 표현"이라며 "그만큼 캠코의 역할에 정부와 국민들의 기대가 절박하고 엄중하므로 신중하고 치밀한 업무 처리를 당부하는 뜻이 담겨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
이러한 위기에서 빛을 발한 금융 공기업이 자산관리공사(캠코)다. 캠코는 외환위기라는 화마(火魔)를 처리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이번 금융위기에도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가장 먼저 금융 불안의 뇌관으로 지적되던 1조7000억원 규모 저축은행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채권을 인수했다. 더불어 2008년 4분기에만 9700억원의 금융사 부실채권을 인수해 금융계의 건전성 확보를 지원했다.
위기 당시 캠코의 발빠른 대응은 외환위기 당시 111조원에 이르는 거대한 규모의 부실채권을 처리했던 경험에서 비롯된다. 사상 유례없는 대규모 종금사 및 은행 퇴출로 금융권은 완전히 얼어붙었고 살아남은 은행들도 기업 연쇄 도산에 따른 부실채권의 무게에 눌려 질식 상태였다. 잇따른 대기업 부도로 휘청이던 금융회사들을 '클린 뱅크'로 탈바꿈시킨 것이 바로 캠코다. 거대한 양의 부실채권을 인수해 국제입찰,인수 · 합병(M&A),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 등으로 부실채권 인수에 소요된 자금보다 4조원이 많은 43조2000억원을 회수했다. 이 과정에서 캠코는 국제적으로 최고의 부실채권 정리기관으로 재탄생했으며 최근 주요 20개국(G20) 금융정상회의에서도 부실채권 정리의 우수 사례로 소개됐다.
캠코의 경제 안정화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한 정부는 이달 40조원 규모의 구조조정기금을 설치하기로 했다. 대규모 자금이 일시에 소요되는 기업 구조조정 지원을 통해 금융사가 기업 부실채권으로 인해 부실화되는 것을 예방하겠다는 조치다. 즉 기업들의 비업무용 자산인 건물,토지 등을 매입해 기업들의 구조조정을 지원하겠다는 의미다. 기업들의 부도 등이 금융회사에 전이돼 실물경제에 혼란을 주는 사태를 막겠다는 의도도 담겨 있다.
구조조정기금이 맡게 될 첫 임무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해운산업 구조조정이다. 캠코는 구조조정기금 자원으로 선박펀드를 조성해 구조조정 과정에 있거나 퇴출되는 해운업체의 선박 매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선박 매입을 통해 업체들의 자금난을 해소시켜 국제 해운시장에서 국내 해운업체들의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캠코는 서민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한 신용 회복 사업에도 힘쓰고 있다. 금융사로부터 7000억원을 출자받아 조성한 재원으로 지난해 9월 신용회복기금을 설립했다. 4월 말까지 금융 소외자 65만여명의 연체 채권 4조원어치를 매입해 약 2만5000명의 채무를 최장 8년까지 분할 상환할 수 있도록 채무재조정을 수행했다.
또 연 30% 이상의 고금리 대출 상품 이용자 5000여명에게 신용보증을 해 줘 은행의 저금리 대출로 전환토록 함으로써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들의 경제활동 정상화를 지원했다. 이달 중 채무재조정 지원금액을 1000만원에서 3000만원으로 확대해 좀 더 많은 금융 소외자들이 기금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처럼 업무가 급증하고 회사의 위상이 어느 때보다 높아진 지금 이철휘 사장은 직원들에게 "우리에게 기회는 위기다"고 강조한다. 캠코 관계자는 "위기가 기회라는 말은 들어봤어도 기회는 위기라는 말은 생소한 표현"이라며 "그만큼 캠코의 역할에 정부와 국민들의 기대가 절박하고 엄중하므로 신중하고 치밀한 업무 처리를 당부하는 뜻이 담겨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