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지난달 30일 크라이슬러를 신속파산 절차를 통해 회생시키기로 결정함에 따라 자구안 제출 시한이 1개월 앞으로 다가온 제너럴모터스(GM)의 운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GM 역시 채권단,노조,딜러 등 이해관계자들 간 의견 조정이 어려워 파산보호 신청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GM도 채권단 양보가 관건

크라이슬러와 마찬가지로 GM도 270억달러의 무보증채를 갖고 있는 채권단의 양보를 얻어내느냐에 따라 파산보호 신청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GM이 미 정부와의 조율을 통해 최근 마련한 최종 자구안에 따르면 GM은 무보증채의 90% 이상을 새로 출범하는 '뉴 GM'의 지분 10%와 교환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프리츠 헨더슨 GM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GM이 파산보호 신청을 피하려면 채권단의 90%가 출자전환 제안을 받아들여야 한다"며 "채권단의 양보가 없으면 파산보호 신청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채권단은 GM의 자구안이 노조에 비해 자신들에게 불리하게 마련됐다며 출자전환을 통해 '뉴 GM'의 지분 51%를 갖게 해줄 것을 정부와 회사 측에 역제안했다.

또 GM이 파산보호 신청없이 딜러 구조조정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적지 않다. GM은 현재 6246곳인 딜러를 내년 말까지 3605곳으로 줄일 계획이다. 다만 노조와의 협상은 크라이슬러 사례에 비춰볼 때 정부가 고용 및 연금 등 복지혜택을 최대한 보장하면 원만히 타결될 가능성이 크다. 크라이슬러에 이어 GM이 파산보호 신청에 들어가면 미 자동차 산업의 입지는 더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1분기 미국 자동차 시장 점유율은 △GM 19.5% △도요타 16.3% △포드 14.1% △크라이슬러 11.2% 순이었다.

◆불투명한 크라이슬러 앞날

오바마 대통령이 직접 나서 "크라이슬러가 신속파산 절차를 통해 1~2개월 내 강하고 경쟁력있는 회사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지만 회사 앞날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정부는 피아트와의 제휴를 통해 크라이슬러 회생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 40억달러의 구제금융에 더해 최대 80억달러를 투입키로 했다.

또 부품 공급망 붕괴를 막기 위해 부품사에 대한 자금 지원에 돌입했다. 하지만 법원의 신속 파산절차가 일부 채권단의 반발로 늦춰질 경우 부품사들의 줄파산이 불가피하다.

또 55%,35%씩 지분을 갖게 되는 노조와 피아트가 효율적으로 공동 경영을 할 수 있을지도 장담하기 어렵다. 포천지는 크라이슬러와 피아트 간 문화차이로 제휴 시너지가 제대로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여기에 친환경 고효율 자동차 생산을 요구하는 정부의 간섭까지 감안하면 크라이슬러 새 경영진이 리더십을 발휘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될 수 있다.

뉴욕=이익원 특파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