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마당] 항체정제 효과 기존재료의 100배…새 '흡착칼럼' 국내서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존 재료보다 100배 정도 우수한 항체정제용 흡착칼럼(흡착장치)이 국내 기술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연구단은 최근 서울 역삼동 기술거래소에서 기술이전 설명회를 갖고 '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 혼성체를 이용한 항체정제용 흡착칼럼 및 항체칩제작 기술'을 발표했다. 연구단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된 항체정제용 흡착칼럼은 항체칩 기술로 개발된 것으로 기존 항체정제용 칼럼에 사용되는 프로틴A나 프로틴G 재료의 문제점을 극복했다"고 밝혔다.
프로틴A와 프로틴G는 미생물 유래 단백질로,항체정제 및 칼럼세척 과정에서 안정성이 낮아 사용기간이 짧다보니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었다. 또 미생물을 이용한 제조과정에서 독성물질 유입 가능성이 높아 품질관리가 까다로웠다고 연구단 측은 덧붙였다.
신기술 개발자인 정상전 선임연구원은 "항체 용출을 위해서는 매우 강한 산성 조건이 필요했는데,이로 인해 정제된 항체의 구조와 기능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항체 용출이 느리고 항체 일부가 칼럼에 남아 칼럼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빈번했다는 것.
이에 반해 새로 개발된 칼럼은 짧은 합성 펩타이드를 흡착재료로 활용,항체정제 및 칼럼세척과정 조건에서 단백질 재료보다 안정성이 크게 향상됐다는 것이 연구단의 설명이다. 특히 합성제품이란 특성상 독성 물질 유입 가능성이 낮고 품질관리가 쉬워졌다고 연구단은 강조했다. 아울러 항체 용출조건이 상대적으로 온화(??=3~4)해져 정제된 단백질의 기능과 구조를 더 잘 보존할 수 있으며 항체 용출이 빠르고 용출 후 칼럼에 잔존물도 거의 없다는 장점도 확보했다.
연구단은 새로운 항체칼럼 기술 개발로 그동안 전량 수입해오던 프로테인G와 프로테인A 칼럼을 상당부분 국산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상전 선임연구원은 "국내 일부기업에서 항체 정제용 칼럼 개발에 나서고 있으나 대부분 프로테인G나 프로테인A를 대상으로 한 기술에 국한됐다"고 말했다.
연구단은 이에 따라 이번에 개발된 항체 정제용 흡착칼럼 기술이 바이오 업체들의 진단용 항체 칩 제작 원천기술이나 표적지향형 약물전달재료 (DDS 응용제품)등의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연구단은 최근 서울 역삼동 기술거래소에서 기술이전 설명회를 갖고 '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 혼성체를 이용한 항체정제용 흡착칼럼 및 항체칩제작 기술'을 발표했다. 연구단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된 항체정제용 흡착칼럼은 항체칩 기술로 개발된 것으로 기존 항체정제용 칼럼에 사용되는 프로틴A나 프로틴G 재료의 문제점을 극복했다"고 밝혔다.
프로틴A와 프로틴G는 미생물 유래 단백질로,항체정제 및 칼럼세척 과정에서 안정성이 낮아 사용기간이 짧다보니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었다. 또 미생물을 이용한 제조과정에서 독성물질 유입 가능성이 높아 품질관리가 까다로웠다고 연구단 측은 덧붙였다.
신기술 개발자인 정상전 선임연구원은 "항체 용출을 위해서는 매우 강한 산성 조건이 필요했는데,이로 인해 정제된 항체의 구조와 기능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항체 용출이 느리고 항체 일부가 칼럼에 남아 칼럼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빈번했다는 것.
이에 반해 새로 개발된 칼럼은 짧은 합성 펩타이드를 흡착재료로 활용,항체정제 및 칼럼세척과정 조건에서 단백질 재료보다 안정성이 크게 향상됐다는 것이 연구단의 설명이다. 특히 합성제품이란 특성상 독성 물질 유입 가능성이 낮고 품질관리가 쉬워졌다고 연구단은 강조했다. 아울러 항체 용출조건이 상대적으로 온화(??=3~4)해져 정제된 단백질의 기능과 구조를 더 잘 보존할 수 있으며 항체 용출이 빠르고 용출 후 칼럼에 잔존물도 거의 없다는 장점도 확보했다.
연구단은 새로운 항체칼럼 기술 개발로 그동안 전량 수입해오던 프로테인G와 프로테인A 칼럼을 상당부분 국산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상전 선임연구원은 "국내 일부기업에서 항체 정제용 칼럼 개발에 나서고 있으나 대부분 프로테인G나 프로테인A를 대상으로 한 기술에 국한됐다"고 말했다.
연구단은 이에 따라 이번에 개발된 항체 정제용 흡착칼럼 기술이 바이오 업체들의 진단용 항체 칩 제작 원천기술이나 표적지향형 약물전달재료 (DDS 응용제품)등의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