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현장과 동떨어진 求人 정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손성태 과학벤처중기부 기자 mrhand@hankyung.com
지난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5층 대회의실에서 국회의원과 정부부처,중소기업 유관단체장 등 36명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정책간담회가 열렸다. 정 · 관 · 재계가 머리를 맞대고 중소기업이 처한 '구직난 속 구인난'의 해법을 찾기 위해서였다.
박순자 한나라당 일자리 '만나기(만들고,나누고,지키는)'특별위원회 위원장 주재로 열린 이날 간담회는 정부부처의 정책발표와 중소기업들의 제안 순으로 2시간30분 남짓 진행됐다. 노동부 등 정부부처는 최저임금제도와 노조전임자 처우문제 등 민감한 사안을 빼곤 중소기업인의 제안에 검토 내지 수용을 즉석에서 약속하기도 했다.
현재 추진 중인 중소기업 인력지원 정책과 이를 위해 책정한 재정지원 규모를 보면 정부가 청년실업 해소 및 중소기업 인력수급에 얼마나 고민하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다. 노동부는 지난 추경예산안 통과로 중소기업 고용지원 예산만 당초보다 50%가 증가한 1조5406억원을 확보했다. 여기에 각종 세제혜택,4대 보험료 면제 등을 비롯 지식경제부 중소기업청 등 유관부처의 관련 예산까지 합치면 실질적 지원 예산은 그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중소기업인들은 정부의 지원정책에 크게 기대하지 않는 눈치다. 정신적 · 물질적 보상의 미스매치(불일치)에 따른 중소기업 취업기피현상은 정부 정책만으로는 한계를 갖는 게 엄연한 현실이기 때문이다. 현실과 동떨어진 정부정책의 미스매치가 아쉬운 게 그래서다. 내국인 실업문제 해소를 위해 외국인 쿼터(취업입국자 수)를 지난해의 5분의 1 수준인 1만3000명으로 축소한 것이나,한 명의 생산인력도 아쉬운 5인 미만 사업장을 청년인턴제 지원대상에서 제외시킨 것 등이 '미스매치'의 대표적인 사례다.
한 중소기업 단체장은 "정부의 기업 프렌들리 정책으로 중기 현장에서는 정책에 대한 불만은 사라졌지만 민원은 넘쳐나고 있다"며 정부정책과 중기요구사항 간 미스매치가 여전함을 토로했다.
정부는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에 '올인'하고 있는데,정작 정책 담당자들은 현장과 동떨어진 '톱다운'방식의 정책결정을 밀어붙이고 있지는 않은지 고민해봐야 한다.
박순자 한나라당 일자리 '만나기(만들고,나누고,지키는)'특별위원회 위원장 주재로 열린 이날 간담회는 정부부처의 정책발표와 중소기업들의 제안 순으로 2시간30분 남짓 진행됐다. 노동부 등 정부부처는 최저임금제도와 노조전임자 처우문제 등 민감한 사안을 빼곤 중소기업인의 제안에 검토 내지 수용을 즉석에서 약속하기도 했다.
현재 추진 중인 중소기업 인력지원 정책과 이를 위해 책정한 재정지원 규모를 보면 정부가 청년실업 해소 및 중소기업 인력수급에 얼마나 고민하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다. 노동부는 지난 추경예산안 통과로 중소기업 고용지원 예산만 당초보다 50%가 증가한 1조5406억원을 확보했다. 여기에 각종 세제혜택,4대 보험료 면제 등을 비롯 지식경제부 중소기업청 등 유관부처의 관련 예산까지 합치면 실질적 지원 예산은 그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중소기업인들은 정부의 지원정책에 크게 기대하지 않는 눈치다. 정신적 · 물질적 보상의 미스매치(불일치)에 따른 중소기업 취업기피현상은 정부 정책만으로는 한계를 갖는 게 엄연한 현실이기 때문이다. 현실과 동떨어진 정부정책의 미스매치가 아쉬운 게 그래서다. 내국인 실업문제 해소를 위해 외국인 쿼터(취업입국자 수)를 지난해의 5분의 1 수준인 1만3000명으로 축소한 것이나,한 명의 생산인력도 아쉬운 5인 미만 사업장을 청년인턴제 지원대상에서 제외시킨 것 등이 '미스매치'의 대표적인 사례다.
한 중소기업 단체장은 "정부의 기업 프렌들리 정책으로 중기 현장에서는 정책에 대한 불만은 사라졌지만 민원은 넘쳐나고 있다"며 정부정책과 중기요구사항 간 미스매치가 여전함을 토로했다.
정부는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에 '올인'하고 있는데,정작 정책 담당자들은 현장과 동떨어진 '톱다운'방식의 정책결정을 밀어붙이고 있지는 않은지 고민해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