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KTX역, 먹고 자고 일하는 공간으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양호<국토연구원장>
지역특성 살린 복합단지조성 필요, 역세권 연계 전국 단일생활권으로
지역특성 살린 복합단지조성 필요, 역세권 연계 전국 단일생활권으로
경제위기 이후의 세계경제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으나 국토차원에서는 '도시권'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전문잡지인 포린폴리시 최신호는 경제위기 이후 세계경제는 핵심 도시권에 의해 좌우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마치 중세시대에 도시국가가 생산과 상업,교역의 중심이 되었듯이 향후 세계는 사람,자본,정보가 고도로 집중되는 도시권이 그 힘을 발휘하는 신중세시대가 전개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사실 지금도 전 세계적으로 40개의 도시권이 전 세계 경제규모의 67%,신기술의 90%를 담당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핵심 도시 경제권을 전략적으로 육성해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KTX역세권을 중심으로 도시권을 만들고 이들 도시권을 네트워크화해 '전국을 하나의 도시권'으로 구축하는 전략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청와대와 행정안전부에서 주최한 생생경제 국민 아이디어 모집에서 대상을 수상한 한국교통연구원의 오재학 박사가 제안한 'KTX 네트워크 경제권 개발방안'이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기존 8개의 경부고속철도 정차역과 향후 조성될 5개의 호남고속철도 정차역을 중심으로 KTX 역세권을 개발하고 이들을 연계하면 전국이 1~2시간대의 광역도시생활권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일본 신칸센 나고야역의 경우 상부에 다목적 복합용도로 JR센트럴타워즈를 개발해 역세권 브랜드화에 성공했으며 시즈오카역은 고급 상권개발을 성공시켜 도쿄권 상권에 대응하고 있다. 필자도 얼마 전 일본 기타규슈에서 열린 학회에 참석했을 때 신칸센 역세권에 있는 호텔에서 잔 적이 있다. 회의개최,숙식,특산물 쇼핑,인근지역으로의 환승 등 일체의 활동이 역세권 내에서 거의 완벽하게 이뤄지는 것을 경험하고 감탄한 바 있다.
한국에서 교통이 편리하고 유동인구가 많은 고속철도 역세권을 지역경제의 새 거점으로 육성하자면 몇 가지 모델이 결합돼야 한다.
첫째,복합기능형 비즈니스 모델이 도입돼야 한다. 역세권의 랜드마크로서 고속철도 역사 건설 또는 개축,상업업무,연계교통,정보교류,주거 및 문화경관 기능의 확충 등 복합형 콤팩트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철도역사로부터 10~20분 이내의 보행거리에 있는 지역은 역세권의 중심시가지로서 여기에는 업무지구,호텔,컨벤션센터,백화점,레스토랑,관광정보센터 등이 입지한 복합타운으로 개발해야 한다.
둘째,녹색성장 모델이 필요하다. 역세권을 개발할 경우 그린 오피스텔,그린홈,역세권 전용 자전거 및 전기자동차 보급,미니 도심공원 조성 등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역세권 내에서의 에너지 소비를 감축할 수 있고,물류비용도 절감할 수 있어 저탄소 도시개발의 시범지구로 부각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특성화 모델이 도입돼야 한다. 국토 전체 차원에서는 각 역세권의 기능이 특화될수록 경쟁력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가령 광주,대구,부산,대전 등 KTX 역세권의 특성화 기능은 정부에서 추진하는 5+2 광역경제권의 선도산업 육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특화기능을 육성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고도의 네트워크 모델이 도입돼야 한다. 개별 KTX 역세권을 전국적으로 네트워크화해 전국이 하나의 도시권으로 통합돼 경제활동,정보교류 등에서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구도로 가야 할 것이다. 그러자면 KTX 역세권 네트워크 구상 마스터플랜을 국가와 지자체가 협력해 조속히 마련하고 필요할 경우 이를 뒷받침하는 법적 기반도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경제위기 이후 뿜어져나올 새로운 기회를 한국이 선점하기 위해 KTX 역세권 중심의 새로운 국토발전 전략을 스피드있게 실천해가야 한다.
우리나라도 핵심 도시 경제권을 전략적으로 육성해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KTX역세권을 중심으로 도시권을 만들고 이들 도시권을 네트워크화해 '전국을 하나의 도시권'으로 구축하는 전략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청와대와 행정안전부에서 주최한 생생경제 국민 아이디어 모집에서 대상을 수상한 한국교통연구원의 오재학 박사가 제안한 'KTX 네트워크 경제권 개발방안'이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기존 8개의 경부고속철도 정차역과 향후 조성될 5개의 호남고속철도 정차역을 중심으로 KTX 역세권을 개발하고 이들을 연계하면 전국이 1~2시간대의 광역도시생활권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일본 신칸센 나고야역의 경우 상부에 다목적 복합용도로 JR센트럴타워즈를 개발해 역세권 브랜드화에 성공했으며 시즈오카역은 고급 상권개발을 성공시켜 도쿄권 상권에 대응하고 있다. 필자도 얼마 전 일본 기타규슈에서 열린 학회에 참석했을 때 신칸센 역세권에 있는 호텔에서 잔 적이 있다. 회의개최,숙식,특산물 쇼핑,인근지역으로의 환승 등 일체의 활동이 역세권 내에서 거의 완벽하게 이뤄지는 것을 경험하고 감탄한 바 있다.
한국에서 교통이 편리하고 유동인구가 많은 고속철도 역세권을 지역경제의 새 거점으로 육성하자면 몇 가지 모델이 결합돼야 한다.
첫째,복합기능형 비즈니스 모델이 도입돼야 한다. 역세권의 랜드마크로서 고속철도 역사 건설 또는 개축,상업업무,연계교통,정보교류,주거 및 문화경관 기능의 확충 등 복합형 콤팩트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철도역사로부터 10~20분 이내의 보행거리에 있는 지역은 역세권의 중심시가지로서 여기에는 업무지구,호텔,컨벤션센터,백화점,레스토랑,관광정보센터 등이 입지한 복합타운으로 개발해야 한다.
둘째,녹색성장 모델이 필요하다. 역세권을 개발할 경우 그린 오피스텔,그린홈,역세권 전용 자전거 및 전기자동차 보급,미니 도심공원 조성 등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역세권 내에서의 에너지 소비를 감축할 수 있고,물류비용도 절감할 수 있어 저탄소 도시개발의 시범지구로 부각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특성화 모델이 도입돼야 한다. 국토 전체 차원에서는 각 역세권의 기능이 특화될수록 경쟁력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가령 광주,대구,부산,대전 등 KTX 역세권의 특성화 기능은 정부에서 추진하는 5+2 광역경제권의 선도산업 육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특화기능을 육성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고도의 네트워크 모델이 도입돼야 한다. 개별 KTX 역세권을 전국적으로 네트워크화해 전국이 하나의 도시권으로 통합돼 경제활동,정보교류 등에서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구도로 가야 할 것이다. 그러자면 KTX 역세권 네트워크 구상 마스터플랜을 국가와 지자체가 협력해 조속히 마련하고 필요할 경우 이를 뒷받침하는 법적 기반도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경제위기 이후 뿜어져나올 새로운 기회를 한국이 선점하기 위해 KTX 역세권 중심의 새로운 국토발전 전략을 스피드있게 실천해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