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1>에코플레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환경(ecology)’과‘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다.
②환경기준 강화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면서 물가도 급등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③제조업체들이 환경 친화적 생산기법을 도입하지 않으면 영업이익이 감소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④세계자원연구소(WRI)와 컨설팅 회사인 AT 커니가 이와 관련된 보고서를 발표한 이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⑤제조업 제품의 환경 친화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해설>에코플레이션(ecoflation)은 ‘환경(Ecology)’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 인플레이션을 의미한다.

세계자원연구소(WRI)와 세계적 컨설팅 기업 AT 커니(Kearney)는 각 제조업체들이 당장 환경친화적인 생산 기법을 도입하지 않는다면 영업이익이 2013년까지 13~31%,2018년까지는 19~47%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이미 세계 각지에서 자연재해가 빈번해지거나 심해지는 만큼,기후변화에 대한 대책을 당장 수립하지 않으면 환경 재앙으로 인한 비용이 소비재 생산에 반영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정답 ⑤

<문제2>경기가 불황일 때 정부는 여러 가지 수단을 통해 경기회복을 시도한다.정부가 시행할 수 있는 다음 여러 수단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①운하를 건설한다.
②공무원 채용인원을 늘린다.
③공무활동을 위해 필요한 사무용품 구매를 서두른다.
④지방자치단체 주관으로 낡은 하수관을 새로 교체한다.
⑤경기활성화를 위해 국민 1인당 24만원의 현금을 격려금으로 지급한다.

<해설>경기가 불황일 때 정부는 재정지출 확대나 감세,금리인하 등의 정책을 추진한다.재정지출 확대는 도로 항만 공사 등 사회간접자본(SOC) 확충,공무원 채용 확대,정부 재정 조기 지출 등 정부가 재정을 통해 직접 경기진작에 나서는 것이다.금리인하나 공개시장 조작은 금융정책에 해당하는 것으로 시중에 자금(유동성)을 공급해 생산 투자 소비 등 경제활동 의욕을 높이고 가계 기업 등 대출자의 이자 부담을 줄여준다.감세나 세금환급,현금 지급은 세제정책으로 국민의 가처분 소득을 늘려 투자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정답 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