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이지만,운전자들이 관리를 소홀히 하기 쉬운 게 타이어다. 특히 공기압 점검은 승객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매우 중요하다. 공기압이 부적절한 상태로 운전하게 되면,타이어 수명이 단축되는 것은 물론 연비도 떨어진다. 제동성능 저하로 인해 사고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건 물론이다.

공기압이 적정기준에 비해 10% 떨어지면 타이어 수명이 15% 정도 줄어든다는 통계도 있다. 압력이 0.21바(bar · 공기압 측정 단위) 낮아지면 연료도 1.5% 더 소모된다. 또 타이어 펑크사고로 이어지는 원인의 75%는 타이어 공기압 저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

그렇지만 웬만한 전문가가 아니고선 공기압 상태를 육안으로 구분하기는 어렵다. 더욱이 타이어에 구멍이 나거나 찢어지지 않아도 자연적인 누출에 의해 공기압이 떨어질 수 있다. 외부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그 누수량이 많아진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공기압이 부족해도 문제가 되지만,공기압이 과다해도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다. 불규칙한 타이어 마모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이처럼 공기압 점검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지만 수시로 체크하는 것은 무척 힘든 일인 게 사실이다. 자동차 부품사들은 경쟁적으로 타이어 공기압을 체크해 알려주는 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현대모비스가 지난 4월 열린 서울모터쇼에서 선보인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 공기압 측정장치)라는 신기술도 같은 맥락이다. 모터쇼에서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얻은 이 시스템은 자동차가 스스로 타이어 공기압을 체크해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TPMS는 타이어 내부에 장착된 센서가 타이어의 압력과 온도를 감지해,이 정보를 운전석으로 보내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타이어 압력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타이어에 탑재된 센서는 반도체 공정을 통해 조그맣게 제작돼 각각의 타이어에 장착되기 때문에 정확하면서도 개별적인 압력측정이 가능하다. TPMS는 1개 이상의 타이어에 공기압이 낮은 것으로 측정되면 운전자에게 경고를 보낸다. 보통 계기판에 타이어 저압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일부 제품의 경우,룸미러에 경고등이 있는 경우도 있고 경보음을 함께 내주는 제품도 있다.

TPMS는 세계 최초로 1980년대 등장한 포르쉐 959에서 선보였다. 이후 1990년대 포드 익스플로러에 장착된 타이어 파손에 따른 사고가 생긴 이후 본격적으로 개발됐다. 이 사고로 완성차 메이커인 포드와 타이어 업체인 파이어스톤 사이에 치열한 공방이 일어나면서 새롭게 주목받게 된 것이다.

TPMS와 같은 자동차용 전자기기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운전자 편의와 안전을 위해 자동차 구석구석에 숨어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