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간 및 지방간염 기전 규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서울대학교는 대사 및 염증질환 신약개발연구센터(소장 김상건 교수)가 지방간 및 지방간염이 일어나는 원인을 밝혀내고 신규 치료제 후보물질군을 개발했다고 14일 발표했다.대사성 지방간은 술을 마시지 않거나 소량을 마시는데도 과음하는 사람처럼 간에 지방이 쌓이는 병증이다.만성화되면 간염이나 간경화로 발전하지만 현재 치료제로 인정된 약물은 없다.
연구팀은 세포 내 에너지 항상성을 유지하는 효소인 ‘AMPK’와 ‘S6K1’이 지방합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핵 수용체인 LXR-α를 조절하는 분자신호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연구팀은 또 AMPK의 활성은 낮추고 S6K1의 활성은 높일 수 있는 치료후보 약물군인 ‘디티올티온(Dithiolethione)’을 합성하고 이 물질들이 LXR-α의 활성 억제를 통해 지질 생합성효소의 유도를 막고 강력한 지방간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이 연구결과는 간질환 분야의 국제학술지 ‘헤파톨로지(Hematology)’ 6월호에 게재된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
연구팀은 세포 내 에너지 항상성을 유지하는 효소인 ‘AMPK’와 ‘S6K1’이 지방합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핵 수용체인 LXR-α를 조절하는 분자신호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연구팀은 또 AMPK의 활성은 낮추고 S6K1의 활성은 높일 수 있는 치료후보 약물군인 ‘디티올티온(Dithiolethione)’을 합성하고 이 물질들이 LXR-α의 활성 억제를 통해 지질 생합성효소의 유도를 막고 강력한 지방간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이 연구결과는 간질환 분야의 국제학술지 ‘헤파톨로지(Hematology)’ 6월호에 게재된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