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해방촌, 대규모 녹지공원으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6·25 동란,1970~1980년대 개발 붐 등을 거치면서 자연환경이 크게 훼손된 서울 용산 해방촌 일대가 노후 건물이 대거 철거된 뒤 녹지 공원으로 재탄생한다.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의 ‘남산 그린웨이(근린공원) 사업’을 통해 단절·훼손된 남산 일대 생태 녹지축을 회복하겠다고 18일 발표했다.
대상 지역은 용산구 용산2가동 해방촌이라 불리는 5만7000㎡와 국방부 군인아파트가 자리하고 있는 4만7000㎡를 포함해 총 10만4000㎡ 규모다.
사업 구간은 남산~용산공원으로서 서울시는 주택지 조성 등으로 훼손된 남산 자락을 나무숲이 우거진 녹지로 조성해 남산과 한강 사이에 단절된 생태축을 연결하겠다는 계획이다.이렇게 되면 최소 100m,최대 190m의 폭을 가진 총연장 700m 규모의 ‘초록길’이 생겨나게 된다.
서울시는 복원 구간 내의 조망시설,쉼터 등의 편의시설과 산책로 등 인공 구조물은 최소화해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살린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를 위해 해방촌 일대 구릉지를 인근 후암동 역세권의 노후·불량지역과 묶어 개발하는 ‘결합개발’ 방식을 채택하기로 했다.이에 따라 시는 후암동 일대 정비구역의 면적을 넓히고 층고를 완화해줘서 해방촌 일대 주민들을 이곳으로 이주시킨다는 계획이다.
건축 규모는 현행 최고 5층(20m)에서 평균 12층,18층 이하 등으로 높이가 완화되며 한강로변은 고층으로 유도할 방침이다.건축물 용도에서도 준주거지 용도가 허용될 수 있도록 완화하기로 했다.단 한강로에서의 남산 조망을 위해 통경축을 확보하도록 지침이 마련될 예정이다.
건축물 용도에서도 준주거지 용도가 허용될 수 있도록 완화하기로 했다.
서울시 측은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이미 3회에 걸친 주민설명회와 20여건의 상담 및 의견수렴을 거쳤다고 설명했다.
시는 또 대상지역 내 군인아파트를 비롯한 국방부 소유 토지에 대해서도 국방부와 국토해양부 등 관계부처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추후 용산민족공원(2016년 완공 목표) 조성과 연계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오는 7월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거쳐 8월까지 지구단위계획을 결정고시하고 구역지정(2010년 6월),사업시행인가(2011년 6월) 등을 거쳐 2012년께 공사에 들어간다는 일정을 제시했다.준공은 2016년쯤 이뤄질 전망이다.
오세훈 시장은 “(이 사업이 완료되면) 남산에 사는 다람쥐가 남산 그린웨이와 용산공원을 지나 한강에서 물을 마시고 다시 돌아올 수 있을 만큼 서울 도심에 중요한 생태거점이 생겨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남산 그린웨이 사업’은 민선4기 서울시가 20대 핵심 프로젝트 사업으로 추진 중인 생명녹지축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서울시는 북한산(북악산)~창덕궁과 종묘~세운녹지축~남산~용산공원~용산국제업무지구(이촌지구)~한강~서울현충원~관악산 등으로 이어지는 남북 녹지축을 연결해 다양한 생태 거점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의 ‘남산 그린웨이(근린공원) 사업’을 통해 단절·훼손된 남산 일대 생태 녹지축을 회복하겠다고 18일 발표했다.
대상 지역은 용산구 용산2가동 해방촌이라 불리는 5만7000㎡와 국방부 군인아파트가 자리하고 있는 4만7000㎡를 포함해 총 10만4000㎡ 규모다.
사업 구간은 남산~용산공원으로서 서울시는 주택지 조성 등으로 훼손된 남산 자락을 나무숲이 우거진 녹지로 조성해 남산과 한강 사이에 단절된 생태축을 연결하겠다는 계획이다.이렇게 되면 최소 100m,최대 190m의 폭을 가진 총연장 700m 규모의 ‘초록길’이 생겨나게 된다.
서울시는 복원 구간 내의 조망시설,쉼터 등의 편의시설과 산책로 등 인공 구조물은 최소화해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살린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를 위해 해방촌 일대 구릉지를 인근 후암동 역세권의 노후·불량지역과 묶어 개발하는 ‘결합개발’ 방식을 채택하기로 했다.이에 따라 시는 후암동 일대 정비구역의 면적을 넓히고 층고를 완화해줘서 해방촌 일대 주민들을 이곳으로 이주시킨다는 계획이다.
건축 규모는 현행 최고 5층(20m)에서 평균 12층,18층 이하 등으로 높이가 완화되며 한강로변은 고층으로 유도할 방침이다.건축물 용도에서도 준주거지 용도가 허용될 수 있도록 완화하기로 했다.단 한강로에서의 남산 조망을 위해 통경축을 확보하도록 지침이 마련될 예정이다.
건축물 용도에서도 준주거지 용도가 허용될 수 있도록 완화하기로 했다.
서울시 측은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이미 3회에 걸친 주민설명회와 20여건의 상담 및 의견수렴을 거쳤다고 설명했다.
시는 또 대상지역 내 군인아파트를 비롯한 국방부 소유 토지에 대해서도 국방부와 국토해양부 등 관계부처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추후 용산민족공원(2016년 완공 목표) 조성과 연계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오는 7월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거쳐 8월까지 지구단위계획을 결정고시하고 구역지정(2010년 6월),사업시행인가(2011년 6월) 등을 거쳐 2012년께 공사에 들어간다는 일정을 제시했다.준공은 2016년쯤 이뤄질 전망이다.
오세훈 시장은 “(이 사업이 완료되면) 남산에 사는 다람쥐가 남산 그린웨이와 용산공원을 지나 한강에서 물을 마시고 다시 돌아올 수 있을 만큼 서울 도심에 중요한 생태거점이 생겨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남산 그린웨이 사업’은 민선4기 서울시가 20대 핵심 프로젝트 사업으로 추진 중인 생명녹지축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서울시는 북한산(북악산)~창덕궁과 종묘~세운녹지축~남산~용산공원~용산국제업무지구(이촌지구)~한강~서울현충원~관악산 등으로 이어지는 남북 녹지축을 연결해 다양한 생태 거점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