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사관계 생산성 또 꼴찌…IMD 보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도 56위 그쳐
기업이 한국의 국가경쟁력을 4계단 끌어올렸다. 노사관계 생산성은 꼴찌를 기록해 경쟁력 향상을 가로막는 주범으로 꼽혔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은 20일 내놓은 '2009년 세계경쟁력 평가' 보고서에서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전체 조사 대상 57개국 가운데 27위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2008년은 31위였다.
올해 국가경쟁력 순위를 끌어올리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기업 부문이었다. '기업 효율성' 부문 순위는 지난해 36위에서 올해 29위로 7계단이나 상승했다. 노사관계 생산성은 지난해 55개국 중 55위로 최하위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57개국 중 56위에 그쳤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은 20일 내놓은 '2009년 세계경쟁력 평가' 보고서에서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전체 조사 대상 57개국 가운데 27위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2008년은 31위였다.
올해 국가경쟁력 순위를 끌어올리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기업 부문이었다. '기업 효율성' 부문 순위는 지난해 36위에서 올해 29위로 7계단이나 상승했다. 노사관계 생산성은 지난해 55개국 중 55위로 최하위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57개국 중 56위에 그쳤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