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窓] 부담스러운 코스닥 시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종우 <HMC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코스닥시장이 지난 20일까지 14일 연속 상승 기록을 마감했다. 거래량도 12억주를 넘어 사상 최대치를 경신,2000년 정보기술(IT) 버블 때보다 더 많은 거래가 이뤄졌다.
코스닥시장이 오르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정부 정책의 중심이 녹색 성장에 맞춰져 있는데 테마에 해당하는 종목 중 상당수가 코스닥시장에 몰려 있는 점이 첫번째 상승요인이다. 정책이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감안하면 상당히 설득력이 있는 얘기다. 2008년 실적이 그다지 나쁘지 않았고 기관투자가들이 코스닥시장에 관심을 갖는 점도 상승요인으로 꼽힌다.
문제는 이런 부분들은 주가가 상승할 때 통하는 논리라는 점이다. IT버블 붕괴 직전에도 투자자들은 코스닥시장의 주가수익비율(PER)이 100배를 넘는 것도 거부감 없이 받아들였지만,주가가 꺾이고 난 후에는 어떤 논리로도 주가 하락을 멈추게 할 수 없었다. 이미 코스닥시장은 부담스러울 정도로 올라왔다. 주요 종목의 평균 PER가 40배를 넘었고,적자 기업의 주가가 몇 달 사이에 배 이상 상승했다.
이렇게 주가와 실제 사이에 괴리가 생길 때 주가가 갑자기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테마가 성행하는 토대인 성장에 대한 기대가 빠르게 없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코스닥시장은 상승에 따른 이익보다 하락시에 올 수 있는 손실 가능성이 너무 높아진 상태다. 주의가 요망된다.
지난 3월 이후 주가 상승이 코스닥시장에서 시작됐기 때문에 코스닥시장의 하락과 함께 유가증권시장 역시 본격적인 조정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한경닷컴(www.hankyung.com) 증권리더스 참조
코스닥시장이 오르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정부 정책의 중심이 녹색 성장에 맞춰져 있는데 테마에 해당하는 종목 중 상당수가 코스닥시장에 몰려 있는 점이 첫번째 상승요인이다. 정책이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감안하면 상당히 설득력이 있는 얘기다. 2008년 실적이 그다지 나쁘지 않았고 기관투자가들이 코스닥시장에 관심을 갖는 점도 상승요인으로 꼽힌다.
문제는 이런 부분들은 주가가 상승할 때 통하는 논리라는 점이다. IT버블 붕괴 직전에도 투자자들은 코스닥시장의 주가수익비율(PER)이 100배를 넘는 것도 거부감 없이 받아들였지만,주가가 꺾이고 난 후에는 어떤 논리로도 주가 하락을 멈추게 할 수 없었다. 이미 코스닥시장은 부담스러울 정도로 올라왔다. 주요 종목의 평균 PER가 40배를 넘었고,적자 기업의 주가가 몇 달 사이에 배 이상 상승했다.
이렇게 주가와 실제 사이에 괴리가 생길 때 주가가 갑자기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테마가 성행하는 토대인 성장에 대한 기대가 빠르게 없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코스닥시장은 상승에 따른 이익보다 하락시에 올 수 있는 손실 가능성이 너무 높아진 상태다. 주의가 요망된다.
지난 3월 이후 주가 상승이 코스닥시장에서 시작됐기 때문에 코스닥시장의 하락과 함께 유가증권시장 역시 본격적인 조정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한경닷컴(www.hankyung.com) 증권리더스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