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자율형사립고 전환 신청이 29일 오후 6시에 마감되는 가운데 당초 신청 의사를 밝힌 30여개 학교 중 절반가량이 신청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신문이 28일 이달 초 "자사고 신청 계획이 있다"고 밝혔던 31개 학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광신고 성보고 서라벌고 중대부고 등 10곳은 "검토 결과 포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동북고 동양공고 미림여고 등 5개 학교도 "아직 확정되진 않았으나 신청하지 못할 것 같다"는 부정적인 입장이다. 지난해 서울시교육청에 자율형사립고 예비신청을 한 사립고교는 67곳에 달했으나 이달 초 한 언론 조사 결과 31곳으로 줄었다.

이에 따라 29일 마감까지 자율형사립고 전환을 신청하는 곳은 20곳 미만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시교육청이 당초 30여개 학교가 신청할 것이라고 예상했던 것에 비해 크게 부족하다. 실제로 지난 25일부터 자율형사립고 신청 접수가 시작됐지만 마감을 하루 앞둔 28일 오후 6시 기준 신청학교는 6곳에 불과하다.

자율형사립고 신청률이 낮은 이유는 학생 선발의 자율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시교육청은 앞서 자율형사립고 신청 접수 공고를 통해 학교법인의 재단전입금 비율을 연간 등록금 수입의 5%로 정하도록 했지만 학생 선발 방식은 결정하지 않고 '교육감의 결정에 따른다'고만 통보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협의를 거쳐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이 과정에서 '전원 선지원 · 후추첨 선발' 등 학교들의 선발권을 크게 제약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오면서 자율형사립고를 신청하려 했던 학교들도 속속 신청을 포기하고 있다. 이덕인 중산고 교장은 "내일(29일)이 마감인데 학생 선발방식에 대해 명확한 게 아무것도 없어 리스크가 크다"고 말했다. 그는 "선지원 · 후추첨제가 거론되고 있는데,내년부터 고교선택제가 실시되는 것을 감안하면 일반고와 자율형사립고의 차이가 없다"고 지적했다. 우수한 학생을 뽑을 수 있는 것도 아닌데 연간 수억원의 재단전입금을 낼 이유가 없다는 얘기다.

민영구 숭실고 교장은 "자율형사립고가 되면 환경개선특별보조금 등 학교 수리비도 전혀 받지 못하게 된다"며 "사회적 배려 대상자 20% 조건 등 제약은 많고 이점은 별로 없다"며 포기하겠다고 했다.

자율형사립고는 이명박 정부가 국정과제로 추진하는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서울의 경우 자율형사립고로 지정되면 수업료를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교육과정의 50%를 학교장이 재량껏 결정할 수 있어 보다 자유로운 학교 운영이 가능하다. 자율형사립고로 지정되면 5년간 운영되며 이후 5년마다 교육감 심의와 학교 평가를 거쳐 지정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