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만능청약통장 유치 경쟁 자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은행들이 주택청약종합저축 유치 경쟁을 자제하기로 했다.
28일 은행권에 따르면 청약종합저축을 팔고 있는 우리 신한 하나 기업은행과 농협 등 5개 은행 담당자들은 최근 회의를 갖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이는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25일 과당 경쟁을 우려한 데 따른 것이다.
실제로 은행들의 유치경쟁으로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는 출시 2주일(영업일 기준) 만에 463만8000명을 넘어섰고 현재 500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은행들은 정부의 소득공제 방침이 확정되기도 전에 "청약저축에 가입하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고 홍보하는 등의 무리한 마케팅을 벌여 비난을 받았다.
이에 따라 총괄 수탁은행인 우리은행은 은행 내부적으로 진행해 온 청약통장 유치 캠페인 기간을 6월 말에서 이달 말로 단축하기로 했다. 청약통장 실적을 달성했을 때 주는 영업점 성과평가(KPI) 가점 역시 30점에서 20점으로 낮추기로 했다. 하나은행도 지난 27일 각 영업점에 공문을 보내 "무리한 마케팅이나 영업행위 등을 자제하라"고 지시했으며 신한은행도 조만간 영업점에 유사한 내용의 공문을 보낼 예정이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28일 은행권에 따르면 청약종합저축을 팔고 있는 우리 신한 하나 기업은행과 농협 등 5개 은행 담당자들은 최근 회의를 갖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이는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25일 과당 경쟁을 우려한 데 따른 것이다.
실제로 은행들의 유치경쟁으로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는 출시 2주일(영업일 기준) 만에 463만8000명을 넘어섰고 현재 500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은행들은 정부의 소득공제 방침이 확정되기도 전에 "청약저축에 가입하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고 홍보하는 등의 무리한 마케팅을 벌여 비난을 받았다.
이에 따라 총괄 수탁은행인 우리은행은 은행 내부적으로 진행해 온 청약통장 유치 캠페인 기간을 6월 말에서 이달 말로 단축하기로 했다. 청약통장 실적을 달성했을 때 주는 영업점 성과평가(KPI) 가점 역시 30점에서 20점으로 낮추기로 했다. 하나은행도 지난 27일 각 영업점에 공문을 보내 "무리한 마케팅이나 영업행위 등을 자제하라"고 지시했으며 신한은행도 조만간 영업점에 유사한 내용의 공문을 보낼 예정이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