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前대통령 국민장] 李대통령 내외, 유족과 말없이 인사만… 조사 낭독때 곳곳서 흐느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영결식 이모저모
우려보다 차분한 분위기속 진행… 백원우 의원 "사과하라" 한때 소동
우려보다 차분한 분위기속 진행… 백원우 의원 "사과하라" 한때 소동
흐느낌과 눈물,탄식….29일 서울 경복궁 앞뜰 영결식장은 숙연했다. 7일장 내내 실의에 빠져 있던 권양숙 여사도 가끔 손으로 눈물을 닦아 낼 뿐 감정을 추스른 차분한 모습이었다. 고인의 영정 앞에서 여야도,보 · 혁의 구분도 없었다. 다만 일부 참석자들이 큰 소리로 정부를 비난해 여전히 가라앉지 않은 감정의 앙금을 엿볼 수 있었다.
◆…"지켜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 한명숙 공동 장의위원장이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바치는 조사를 읽어 나가자 객석 여기저기에서는 울음이 터져 나왔다. "다음 생에는 대통령하지 마십시오.정치하지 마십시오.더 이상 바보 노무현으로 살지 마십시오"라는 대목에 이르렀을 때 객석은 흐느끼는 소리로 가득 찼다. 심금을 울리는 조악대의 음악이 깔리자 조문객들은 굳게 입을 다물고 숙연한 표정을 지었다. 노 전 대통령의 생전 모습을 담은 영상이 방영되면서 추모 열기는 최고조에 달했고 유족들은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긴장과 갈등의 순간도 있었다. 일부 격앙된 참석자들이 헌화하려는 이명박 대통령에게 "사과해" "물러가라"는 등 고함을 치며 소란을 일으켰다. 백원우 민주당 의원은 이 대통령이 노 전 대통령의 영전에 헌화하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나는 순간 "여기가 어디라고" 외치며 뛰쳐 나갔다. 이를 막기 위한 경호원들과 취재진,행사 관계자가 뒤엉켜 한동안 영결식장은 어수선해졌다. 백 의원은 무대 왼쪽으로 물러나 이 대통령에게 'X새끼''살인마' 등 격렬한 욕설을 퍼붓기도 했다. 그는 취재진에 둘러싸인 자리에서도 "이명박 대통령은 사죄하십시오.정치 살인입니다"라며 울분을 토로했다. 문재인 전 청와대 비서실장은 영결식이 끝나고 이 대통령에게 백 의원 소란에 대해 사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결식은 군악대의 조악 연주와 함께 운구차량 행렬이 식장으로 들어서면서 시작됐다. 국민의례와 고인에 대한 묵념,장의위원회 집행위원장인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의 고인 약력 보고,공동 장의위원장인 한승수 총리와 한명숙 전 총리의 조사,종교 의식,헌화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4대 종교가 모두 참여한 종교 의식에서 불교는 봉은사 명진 스님이 '반야심경'을 봉독했다. 기독교에서는 NCCK(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 권오성 목사의 기도,천주교는 노 전 대통령에게 영세를 해 줬던 송기인 신부가 주관해 고별 의식을 가졌다. 원불교에서는 이선종 원불교 서울대교구장이 주관했다.
◆…노 전 대통령이 즐겨 부르던 노래 '상록수'는 2003년 2월25일 대통령 취임식에 이어 영결식에서도 불렸다. 참여정부의 힘찬 출발을 알리던 축제의 노래가 노 전 대통령의 영원한 안식을 기원하는 추모곡이 된 것이다. 해금으로 연주된 '아침이슬'도 노 전 대통령이 좋아하던 노래였다. 해금 가락이 구슬프게 울릴 때는 장내가 숙연해졌고 육 · 해 · 공군 3군 조총 대원들이 조총 21발을 발사할 때에는 깊은 정적만이 감돌았다. 그러나 영결식이 끝난 뒤 노 전 대통령의 영구차가 영결식장을 떠날 때 객석은 또다시 눈물 바다를 이뤘다.
이재철 기자 eesang69@hankyung.com
◆…"지켜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 한명숙 공동 장의위원장이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바치는 조사를 읽어 나가자 객석 여기저기에서는 울음이 터져 나왔다. "다음 생에는 대통령하지 마십시오.정치하지 마십시오.더 이상 바보 노무현으로 살지 마십시오"라는 대목에 이르렀을 때 객석은 흐느끼는 소리로 가득 찼다. 심금을 울리는 조악대의 음악이 깔리자 조문객들은 굳게 입을 다물고 숙연한 표정을 지었다. 노 전 대통령의 생전 모습을 담은 영상이 방영되면서 추모 열기는 최고조에 달했고 유족들은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긴장과 갈등의 순간도 있었다. 일부 격앙된 참석자들이 헌화하려는 이명박 대통령에게 "사과해" "물러가라"는 등 고함을 치며 소란을 일으켰다. 백원우 민주당 의원은 이 대통령이 노 전 대통령의 영전에 헌화하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나는 순간 "여기가 어디라고" 외치며 뛰쳐 나갔다. 이를 막기 위한 경호원들과 취재진,행사 관계자가 뒤엉켜 한동안 영결식장은 어수선해졌다. 백 의원은 무대 왼쪽으로 물러나 이 대통령에게 'X새끼''살인마' 등 격렬한 욕설을 퍼붓기도 했다. 그는 취재진에 둘러싸인 자리에서도 "이명박 대통령은 사죄하십시오.정치 살인입니다"라며 울분을 토로했다. 문재인 전 청와대 비서실장은 영결식이 끝나고 이 대통령에게 백 의원 소란에 대해 사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결식은 군악대의 조악 연주와 함께 운구차량 행렬이 식장으로 들어서면서 시작됐다. 국민의례와 고인에 대한 묵념,장의위원회 집행위원장인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의 고인 약력 보고,공동 장의위원장인 한승수 총리와 한명숙 전 총리의 조사,종교 의식,헌화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4대 종교가 모두 참여한 종교 의식에서 불교는 봉은사 명진 스님이 '반야심경'을 봉독했다. 기독교에서는 NCCK(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 권오성 목사의 기도,천주교는 노 전 대통령에게 영세를 해 줬던 송기인 신부가 주관해 고별 의식을 가졌다. 원불교에서는 이선종 원불교 서울대교구장이 주관했다.
◆…노 전 대통령이 즐겨 부르던 노래 '상록수'는 2003년 2월25일 대통령 취임식에 이어 영결식에서도 불렸다. 참여정부의 힘찬 출발을 알리던 축제의 노래가 노 전 대통령의 영원한 안식을 기원하는 추모곡이 된 것이다. 해금으로 연주된 '아침이슬'도 노 전 대통령이 좋아하던 노래였다. 해금 가락이 구슬프게 울릴 때는 장내가 숙연해졌고 육 · 해 · 공군 3군 조총 대원들이 조총 21발을 발사할 때에는 깊은 정적만이 감돌았다. 그러나 영결식이 끝난 뒤 노 전 대통령의 영구차가 영결식장을 떠날 때 객석은 또다시 눈물 바다를 이뤘다.
이재철 기자 eesang6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