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이 끝나면서 노동계가 다시 투쟁 모드로 돌아섰다. 30일 공공운수연맹의 대규모 서울 도심 집회를 시작으로 6월3,10,13일에 노동계의 대규모 집회가 잇따라 이어진다. 특히 화물연대,금속노조,철도노조 등은 6월 초~중순께 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29일 노동계에 따르면 화물연대와 철도노조 등 공공운수연맹 소속 노조들은 30일 오후 4시부터 서울광장에서 1만명의 조합원이 참여하는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갖기로 했다. 경찰과 서울시는 서울광장 집회를 불허하고 집회를 강행할 경우 해산시킨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공공운수연맹은 집회 일정을 바꿀 의사가 없다고 밝혀 대규모 충돌이 우려되고 있다. 화물연대는 이날 집회를 통해 구체적인 총파업 일정 및 방식을 결정할 계획이다.

다음 달 3일에는 금속노조가 투쟁 결의대회를 열고 분위기를 달군다. 금속노조는 현재 산하 150개 기업 노조를 대상으로 이날까지 파업 찬반 투표를 벌였다.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현대차,기아차,GM대우 지부는 다음 달 12일까지 투표를 마칠 예정이다.

이어 13일에는 민주노총이 서울 도심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본격적인 하투(夏鬪)에 들어간다. 앞서 지난 27일에는 건설노조가 지역별로 파업에 돌입한 상태다.

최근까지만 해도 화물연대와 금속노조 등의 파업 강도는 지난해보다 약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하지만 노 전 대통령 추모를 계기로 반(反)정부 시위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노동계도 고무되는 양상이다. 특히 6월에는 6 · 10민주항쟁 기념 집회,6 · 15남북공동선언 기념 집회 등 각종 집회가 예정돼 있다. 노동계는 이들 각종 집회와 맞물려 노정(勞政) 갈등을 부각시키며 국면 전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