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국방위원장의 3남 김정운이 후계자로 결정됐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일 일부 언론에서는 "복수의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국가정보원으로부터 "북한 당국이 김정운의 후계 선정 사실을 담은 외교전문을 해외 주재공관에 전달한 것으로 알고있다"고 보고받았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김정운 후계자 결정'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기에는 이르다는 반응이 정치권 등에서 제기되고 있다.

정보위원인 민주당 박지원 의원은 이날 오전 라디오 방송 '이승열의 SBS 전망대'에 출연해 핵실험 등 북한의 위협이 김정운 후계구도와 관련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정부로부터 김정운을 내세워 충성맹세를 한다는 설명을 들었지만 아직까지 확인이 안 되고 의심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이어 "과거에도 우리 정부나 미국, 세계 각국에서 북한의 그런 면(미심쩍은 정황)을 이용할 때도 있었다"며 "여러 가지를 보고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북한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북한에서는 아직 김정운을 후계자로 인정하지 않았다"며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건강이상으로 인한 업무 공백을 메우기 위해 김정운이 '업무 대리' 차원에서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김 위원장은 현재 핵실험, 미사일 발사 등 중요 사안에 대한 지시만을 하고 있으며 다른 업무를 김정운에게 맡기고 평양시 근교 중리에 위치한 별장에서 병 치료에 전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또 김정운의 후계자설이 증폭된 데에 대해서는 "(김정운이) 북한 내 서열 상 김정일의 업무에 깊게 관여할 수 없기 때문에 김정운이 보좌하게 된 것을 업무지침으로 내린 것이 와전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역정보 공작'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고 "사실이 확인될 때까지 신중히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한편 북한은 지난 1월 8일 25회 생일을 맞은 김정운을 후계자로 내정했다는 김정일 위원장의 교시를 노동당 조직지도부에 비밀리에 하달한데 이어 지난 25일 2차 핵실험 직후 노동당, 인민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내각 부처, 해외 공관 등에 통보하며 '후계자 김정운'을 공식화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지난 2월 25일 정보위 전체회의에서 북한의 후계구도와 관련해 "3대 세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한 바 있다. 그러나 당시에는 후계자로 '김정운'이 확정됐다고 단정짓지 않았다.

한경닷컴 이진석 기자 gene@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