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통화확대 정책 브레이크 필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채발행 급증→재정적자 확대→인플레 우려
FRB 내부서도 "긴축전호나 해야" 목소리 커져
FRB 내부서도 "긴축전호나 해야" 목소리 커져
미국 통화당국이 통화정책의 중심을 경기부양에서 인플레 예방으로 옮겨갈 조짐이다. 경기부양을 위해 정부와 중앙은행이 푼 막대한 유동성을 이제 서서히 거둬들여야 할 시점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정부의 재정적자 확대를 우려하는 발언을 한 데 이어 통화정책 우선순위를 물가안정에 둬야 한다는 지역 연방은행 총재의 발언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는 24~25일 열릴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통화정책 회의가 주목된다.
샌드라 피아낼토 클리블랜드 연방은행 총재는 4일 켄터키주 루이빌에서 열린 '2009 인베스트 켄터키 컨퍼런스' 연설에서 "중앙은행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물가를 관리하는 것"이라며 "FRB의 통화정책 우선 순위가 디스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신용시장 회복에서 통화확장과 재정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유발을 예방하는 쪽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신용시장과 경제가 정상화를 찾아가면 FRB의 불어난 회계장부에서 자산을 덜어 내기 위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신용시장을 정상화하기 위해 마련한 각종 대출프로그램 중 일부를 조만간 폐기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하지만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FOMC는 작년 12월 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를 연 0~0.25% 수준으로 낮춘 뒤 지금까지 사실상 제로금리를 유지해왔다.
토머스 호니그 캔자스 연방은행 총재도 전날 와이오밍의 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연설에서 "FRB가 통화정책 방향을 긴축으로 선회해야 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전반적으로 미 금리가 상승하는 것은 투자자들이 재정적자와 통화완화 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는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기 전에 시장의 경고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FRB의 국채 및 각종 증권 매입 프로그램도 잠재 인플레이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대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비록 미국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돼도 시중에 돈이 너무 풀려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FRB의 통화정책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벤 버냉키 의장은 국채수익률 급등의 원인을 투자자들의 재정적자에 대한 우려로 지목하며 재정적자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버냉키 의장은 전날 하원예산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재정의 장기적 지속 가능성에 대해 강한 확신을 주지 못하면 미국은 금융 안정성은 물론이고 경제 회복도 지연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통화당국의 긴축 선회 가능성을 언급하지 않았다.
오바마 행정부가 경기부양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부으면서 미국의 재정적자는 올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약 13%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미국 경제가 저점을 지났다"며 적자재정에서 균형재정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 미국 영국 독일 등 주요국이 국채 발행을 늘리고 있는 가운데 금리가 상승,각국의 이자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올리비아 블랜차드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전 세계 정부의 부채가 늘어나게 되면 금리도 따라서 올라가게 된다"고 말했다. 10년 만기 미 국채 이자율은 지난해 연 2.0%에서 최근 3.54%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독일 정부의 10년짜리 국채 이자율은 2.93%에서 3.57%로,영국의 국채 이자율은 3.41%에서 3.78%로 상승했다.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는 "국채 금리가 1%포인트 올라갈 때마다 미 정부로선 매년 1700억달러를 추가로 부담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뉴욕=이익원 특파원 iklee@hankyung.com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정부의 재정적자 확대를 우려하는 발언을 한 데 이어 통화정책 우선순위를 물가안정에 둬야 한다는 지역 연방은행 총재의 발언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는 24~25일 열릴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통화정책 회의가 주목된다.
샌드라 피아낼토 클리블랜드 연방은행 총재는 4일 켄터키주 루이빌에서 열린 '2009 인베스트 켄터키 컨퍼런스' 연설에서 "중앙은행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물가를 관리하는 것"이라며 "FRB의 통화정책 우선 순위가 디스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신용시장 회복에서 통화확장과 재정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유발을 예방하는 쪽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신용시장과 경제가 정상화를 찾아가면 FRB의 불어난 회계장부에서 자산을 덜어 내기 위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신용시장을 정상화하기 위해 마련한 각종 대출프로그램 중 일부를 조만간 폐기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하지만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FOMC는 작년 12월 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를 연 0~0.25% 수준으로 낮춘 뒤 지금까지 사실상 제로금리를 유지해왔다.
토머스 호니그 캔자스 연방은행 총재도 전날 와이오밍의 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연설에서 "FRB가 통화정책 방향을 긴축으로 선회해야 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전반적으로 미 금리가 상승하는 것은 투자자들이 재정적자와 통화완화 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는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기 전에 시장의 경고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FRB의 국채 및 각종 증권 매입 프로그램도 잠재 인플레이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대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비록 미국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돼도 시중에 돈이 너무 풀려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FRB의 통화정책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벤 버냉키 의장은 국채수익률 급등의 원인을 투자자들의 재정적자에 대한 우려로 지목하며 재정적자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버냉키 의장은 전날 하원예산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재정의 장기적 지속 가능성에 대해 강한 확신을 주지 못하면 미국은 금융 안정성은 물론이고 경제 회복도 지연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통화당국의 긴축 선회 가능성을 언급하지 않았다.
오바마 행정부가 경기부양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부으면서 미국의 재정적자는 올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약 13%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미국 경제가 저점을 지났다"며 적자재정에서 균형재정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 미국 영국 독일 등 주요국이 국채 발행을 늘리고 있는 가운데 금리가 상승,각국의 이자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올리비아 블랜차드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전 세계 정부의 부채가 늘어나게 되면 금리도 따라서 올라가게 된다"고 말했다. 10년 만기 미 국채 이자율은 지난해 연 2.0%에서 최근 3.54%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독일 정부의 10년짜리 국채 이자율은 2.93%에서 3.57%로,영국의 국채 이자율은 3.41%에서 3.78%로 상승했다.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는 "국채 금리가 1%포인트 올라갈 때마다 미 정부로선 매년 1700억달러를 추가로 부담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뉴욕=이익원 특파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