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ㆍ대만 '반도체 동맹' 탄력 붙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엘피다 이어 日 정부도 대만반도체지주사에 투자
일본 정부가 대만 정부가 주도해 설립한 대만반도체지주회사(TMC)에 투자하기로 결정했다고 로이터통신이 6일 보도했다.
인치밍 대만 경제부 장관은 D램 산업 구조조정을 위해 세운 TMC에 일본 정부가 투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TMC에는 앞서 일본 엘피다메모리도 참여를 결정한 상태여서 한국 추격을 위한 일본 · 대만 메모리 반도체 동맹이 가속화될 것임을 예고한다. 일본과 대만 양국의 민 · 관이 모두 손잡고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등 한국 업체 추격에 나선 것이다.
일본 정부의 투자 규모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인치밍 장관은 대만 정부의 투자 규모보다 작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대만 정부는 TMC에 최대 100억대만달러(3억달러)를 투자하고 이를 통해 50% 미만의 지분을 소유할 것이라고 밝혀왔다. TMC는 현재 5~10곳의 잠재적 투자자와 투자유치 협상을 벌이고 있다. TMC는 사업계획을 확정하는 대로 대만 정부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아 정식 출범할 예정이다.
한편 대만의 마잉주 총통(대통령)은 반도체 핵심 소재인 12인치 웨이퍼 공장의 중국 설립 허용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일본 · 대만에 이어 대만 · 중국 간 반도체 동맹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마 총통은 전날 반도체 장비회사인 미국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의 마이클 스플린터 최고경영자(CEO)를 만난 뒤 내놓은 성명을 통해 중국에 12인치 웨이퍼 공장을 설립할 수 있도록 인가하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허용 여부는 다음 달 중 정식 발표할 예정이다. 대만은 첨단 기술의 중국 이전을 꺼린 천수이볜 전 총통의 영향으로 중국에 8인치 웨이퍼 공장 설립만 허용해왔다. 12인치 웨이퍼 공장을 중국에 세울 수 있게 되면 세계 1,2위 파운드리업체(수탁생산)인 대만의 TSMC와 UMC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로이터통신은 전망했다.
AP통신은 세계 반도체 생산 판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대만 정부는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공장 중국 설립을 허용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등 양안(대만과 중국) 간 첨단 정보기술(IT) 동맹이 가속화될 조짐이다.
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
인치밍 대만 경제부 장관은 D램 산업 구조조정을 위해 세운 TMC에 일본 정부가 투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TMC에는 앞서 일본 엘피다메모리도 참여를 결정한 상태여서 한국 추격을 위한 일본 · 대만 메모리 반도체 동맹이 가속화될 것임을 예고한다. 일본과 대만 양국의 민 · 관이 모두 손잡고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등 한국 업체 추격에 나선 것이다.
일본 정부의 투자 규모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인치밍 장관은 대만 정부의 투자 규모보다 작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대만 정부는 TMC에 최대 100억대만달러(3억달러)를 투자하고 이를 통해 50% 미만의 지분을 소유할 것이라고 밝혀왔다. TMC는 현재 5~10곳의 잠재적 투자자와 투자유치 협상을 벌이고 있다. TMC는 사업계획을 확정하는 대로 대만 정부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아 정식 출범할 예정이다.
한편 대만의 마잉주 총통(대통령)은 반도체 핵심 소재인 12인치 웨이퍼 공장의 중국 설립 허용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일본 · 대만에 이어 대만 · 중국 간 반도체 동맹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마 총통은 전날 반도체 장비회사인 미국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의 마이클 스플린터 최고경영자(CEO)를 만난 뒤 내놓은 성명을 통해 중국에 12인치 웨이퍼 공장을 설립할 수 있도록 인가하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허용 여부는 다음 달 중 정식 발표할 예정이다. 대만은 첨단 기술의 중국 이전을 꺼린 천수이볜 전 총통의 영향으로 중국에 8인치 웨이퍼 공장 설립만 허용해왔다. 12인치 웨이퍼 공장을 중국에 세울 수 있게 되면 세계 1,2위 파운드리업체(수탁생산)인 대만의 TSMC와 UMC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로이터통신은 전망했다.
AP통신은 세계 반도체 생산 판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대만 정부는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공장 중국 설립을 허용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등 양안(대만과 중국) 간 첨단 정보기술(IT) 동맹이 가속화될 조짐이다.
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