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고 쉽게 빌려주자" 은행권 中企대출금리 상한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민ㆍ신한 등 5개 은행 15%대로 낮춰
시중은행들이 잇따라 중소기업 대출금리 상한제를 도입하고 있다. 신용등급 하락으로 중소기업 대출금리가 지나치게 높게 책정된다는 지적에 따라 금융당국이 금리 부담을 덜어주는 방안을 찾도록 은행들을 지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기업 외환 등 5개 은행은 보증부 대출 금리 상한선을 15%로,일반 대출 금리 상한선을 15~18%로 정했다. 보증부 대출은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 등이 발급한 보증서를 담보로 자금을 빌려주는 상품으로,당초 은행별 최고 금리는 17.0~22.9%에 달했다. 하지만 금리 상한제 도입으로 신용등급이 하락하더라도 보증 비율 80% 이상이면 대출 금리가 15%를 넘지 않게 된다.
보증서가 없는 일반 대출도 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을 불문하고 △신한 외환은행이 15% △하나 기업은행 17% △국민은행이 18%를 각각 넘지 않도록 정했다.
중소기업 대출 만기시 신용등급이 하락하면 붙게 되는 가산금리의 상한선을 설정하는 은행도 늘고 있다. 국민은행은 보증 비율 80%인 보증부 대출의 경우 신용등급 하락 정도와 관계 없이 가산금리가 5%포인트를 넘지 않도록 했다. 한국씨티은행과 SC제일은행도 가산금리를 3%포인트 이상 붙이지 않고 있다.
신용등급과 상관 없이 일괄적으로 중소기업 대출금리를 인하한 은행도 있다. 기업은행이 보증비율 100% 보증부 대출에 대해 1.0%포인트,보증비율 85% 이상은 0.5%포인트 각각 대출금리를 인하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
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기업 외환 등 5개 은행은 보증부 대출 금리 상한선을 15%로,일반 대출 금리 상한선을 15~18%로 정했다. 보증부 대출은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 등이 발급한 보증서를 담보로 자금을 빌려주는 상품으로,당초 은행별 최고 금리는 17.0~22.9%에 달했다. 하지만 금리 상한제 도입으로 신용등급이 하락하더라도 보증 비율 80% 이상이면 대출 금리가 15%를 넘지 않게 된다.
보증서가 없는 일반 대출도 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을 불문하고 △신한 외환은행이 15% △하나 기업은행 17% △국민은행이 18%를 각각 넘지 않도록 정했다.
중소기업 대출 만기시 신용등급이 하락하면 붙게 되는 가산금리의 상한선을 설정하는 은행도 늘고 있다. 국민은행은 보증 비율 80%인 보증부 대출의 경우 신용등급 하락 정도와 관계 없이 가산금리가 5%포인트를 넘지 않도록 했다. 한국씨티은행과 SC제일은행도 가산금리를 3%포인트 이상 붙이지 않고 있다.
신용등급과 상관 없이 일괄적으로 중소기업 대출금리를 인하한 은행도 있다. 기업은행이 보증비율 100% 보증부 대출에 대해 1.0%포인트,보증비율 85% 이상은 0.5%포인트 각각 대출금리를 인하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