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파탄 책임자도 이혼 소송 가능"… 광주 高法, 이례적 판결 '눈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혼인생활 파탄의 주된 책임이 있는 '유책(有責) 배우자'가 청구한 이혼을 법원이 이례적으로 허용했다. 이는 유책 배우자의 이혼청구를 원칙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대법원 판례에 반하는 것으로,향후 상급심에서도 이를 받아들일 경우 선진국처럼 유책주의가 사라지게 게 귀추가 주목된다.
광주고법 제1가사부(부장판사 선재성)는 8일 A씨(42 · 여)가 남편 B씨(46)를 상대로 낸 이혼 청구소송 항소심에서 이혼을 불허한 1심 판결을 취소하고 이혼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혼인파탄의 주된 책임이 A씨에게 있다고 볼 수 있지만 부부의 별거기간이 길고,부부 간에 어린 자녀가 없다면 이혼청구를 받아들인다고 해서 상대방이나 자녀가 힘든 상황에 처하는 등 사회정의에 반하지 않는다"며 "유책 배우자의 이혼청구라는 이유만으로 불허해서는 안 된다"고 판시했다. 대법원 판례는 이혼 판단에서 '유책주의'를 고수해 유책 배우자의 이혼청구를 원칙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고,상대방이 혼인생활을 계속할 의사가 없으면서도 보복 목적 등으로 이혼을 거부하는 등 특별한 경우에만 유책 배우자의 이혼청구를 허용하고 있다.
재판부는 "A씨 부부가 동거한 기간이 7년 남짓인 데 비해 별거기간은 11년 이상이고,자녀는 중 · 고생 등 2명이지만 A씨가 다른 남자 사이에서 낳은 신생아는 장애가 있어 A씨의 양육이 필수적이고 부부 간 재결합 가능성도 거의 없다"며 "이혼청구를 기각해 현재 상황을 지속하는 것보다 혼인관계를 정리하는 것이 자녀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또 "선진국의 이혼법은 기존의 '유책주의'에서 벗어나 이혼을 허용하는 대신 경제적 약자인 배우자나 자녀를 보호하기 위한 가혹조항을 두는 '파탄주의'로 옮겨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A씨 부부는 1990년 12월 혼인신고 후 2명의 자녀를 낳았지만 남편의 음주와 외박 등으로 불화가 생겼고 A씨는 1997년 가출한 뒤 남편과 따로 살아왔다. 다른 남자와 동거하면서 지난해 2월 장애가 있는 아이를 낳은 A씨는 이혼을 청구했지만 1심에서 유책 배우자의 청구라는 이유 등으로 기각됐다.
서보미 기자 bmseo@hankyung.com
광주고법 제1가사부(부장판사 선재성)는 8일 A씨(42 · 여)가 남편 B씨(46)를 상대로 낸 이혼 청구소송 항소심에서 이혼을 불허한 1심 판결을 취소하고 이혼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혼인파탄의 주된 책임이 A씨에게 있다고 볼 수 있지만 부부의 별거기간이 길고,부부 간에 어린 자녀가 없다면 이혼청구를 받아들인다고 해서 상대방이나 자녀가 힘든 상황에 처하는 등 사회정의에 반하지 않는다"며 "유책 배우자의 이혼청구라는 이유만으로 불허해서는 안 된다"고 판시했다. 대법원 판례는 이혼 판단에서 '유책주의'를 고수해 유책 배우자의 이혼청구를 원칙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고,상대방이 혼인생활을 계속할 의사가 없으면서도 보복 목적 등으로 이혼을 거부하는 등 특별한 경우에만 유책 배우자의 이혼청구를 허용하고 있다.
재판부는 "A씨 부부가 동거한 기간이 7년 남짓인 데 비해 별거기간은 11년 이상이고,자녀는 중 · 고생 등 2명이지만 A씨가 다른 남자 사이에서 낳은 신생아는 장애가 있어 A씨의 양육이 필수적이고 부부 간 재결합 가능성도 거의 없다"며 "이혼청구를 기각해 현재 상황을 지속하는 것보다 혼인관계를 정리하는 것이 자녀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또 "선진국의 이혼법은 기존의 '유책주의'에서 벗어나 이혼을 허용하는 대신 경제적 약자인 배우자나 자녀를 보호하기 위한 가혹조항을 두는 '파탄주의'로 옮겨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A씨 부부는 1990년 12월 혼인신고 후 2명의 자녀를 낳았지만 남편의 음주와 외박 등으로 불화가 생겼고 A씨는 1997년 가출한 뒤 남편과 따로 살아왔다. 다른 남자와 동거하면서 지난해 2월 장애가 있는 아이를 낳은 A씨는 이혼을 청구했지만 1심에서 유책 배우자의 청구라는 이유 등으로 기각됐다.
서보미 기자 bm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