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말을 아꼈던 친박계가 쇄신특별위원회(위원장 원희룡)의 활동을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친박계 중진 의원들은 10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 · 중진연석회의에서 당 쇄신위의 안을 한목소리로 질타했다. 홍사덕 의원은 "박희태 대표께서 6월 말을 시한으로 해서 자신의 직과 관련한 말을 하신 것은 일시적인 실수였다고 굳게 믿는다"면서 "아무쪼록 최고위원들께서 이 실수가 오래 가지 않도록 바로 고쳐주시기를 간청드린다"고 말했다. 이는 박 대표가 주장한 '화합형 당대표'가 다분히 '박근혜 끌어내기' 성격이 짙다는 인식이 바탕에 깔린 것으로 보인다.

그는 "변화와 쇄신에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면서 "가장 교묘한 쇄신반대 운동은 10~20가지 과제를 내놓고 한꺼번에 똑같이 밀고 나가자는 주장"이라면서 쇄신특위의 최근 활동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박종근 의원은 "쇄신특위는 쇄신안이 확정되면 이를 당에 제출하는 정도이지 언론플레이를 하는 게 쇄신위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경재 의원도 '화합형 대표추대론'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가 정말 마음을 털어놓는 화합과 통합의 정신이 있고 난 다음에 화합이 있는 것이지 억지로 협박해서 얼기설기 만든다고 화합이 되는 건 아니다"고 불편한 심기를 나타냈다.

친박계 관계자는 "쇄신특위가 친박 측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화합형 당대표'론을 언론에 흘리면서 당 쇄신파들과 함께 '박근혜 끌어내기'의 모양새를 취하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이 자칫 친박계 내부의 분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인식이 친박계 중진 의원들을 움직인 것 같다"고 친박 내부의 분위기를 전했다.

하지만 친박 내부에서도 '화합형 대표론'을 마냥 반대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친박계 한 의원은 "마치 우리가 당의 쇄신을 반대하는 것처럼 국민에게 비쳐질까 우려된다"면서 "우리는 당 쇄신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쇄신파의 밀어붙이기식 조기전대를 통해 더 강한 분열이 생길 것을 우려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구동회기자 kugi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