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0일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와 이회창 자유선진당 총재를 청와대로 초청한 자리에서 '국면전환용 개각'은 하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 했다.

이 대통령은 "장관을 수시로 바꾸는 것은 국정 운영에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개각이 국면전환용으로 중요하다는 주장에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장관 몇 명 바꾸는 단기적 처방으로 국정 쇄신을 다한 것처럼 하지 않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이 개각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지만 정치권은 이 같은 발언의 본 뜻은 개각 얘기가 본격화될 경우 정부 부처 분위기가 흐트러지는 것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당장은 아니지만 늦어도 한 달 내에는 개각이 있을 수 있다는 해석이다. 청와대 내부에서도 개각을 마냥 피할 수 없을 것이란 얘기가 많다. 한나라당에서도 국정 쇄신안을 제시하고 있고 그것이 국민적으로 받아들여진다면 개각에 나서는 것을 언제까지 피할 수만은 없을 것이란 분석이다. 명분을 쌓은 후 적절한 타이밍을 잡아 개각을 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선 벌써부터 분권형 총리 기용설,보수대연합 구상 등이 제기되고 있다. 이 대통령이 당초 이달 말로 예상됐던 검찰총장 및 국세청장 인사를 '개혁'이란 이름으로 예상 외의 인물로 전격 단행한 것은 쇄신의 고삐를 바짝 죄겠다는 신호탄으로 해석되고 있는 만큼 개각 폭도 당초 예상보다 휠씬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