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스홉킨스대 크루거 교수 "인도보다 한국식 성장 택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앤 크루거 존스홉킨스대 국제경제학과 교수가 “한국식 성장 인도식 성장 중에 택하라고 물으면 한국식 성장 모델을 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크루거 교수는 23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세계은행 개발경제회의(ABCDE)의 기조연설과 기자회견에서 이같은 의견을 밝혔다.그는 “인도는 1997년 한국의 외환위기와 같은 뚜 외환위기와 같은 뚜렷한 위기를 겪진 않았지만 계속 더딘 성장을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각국의 재정건전성 악화에도 불구하고 올 하반기 경제전망을 긍정적으로 하고 있다”며 “한국 경기도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1분기 성장률이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그는 이어서 “세계 경제와 중국 경제가 예상보다 빨리 회복된다면 한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크루거 교수는 미국경제학회 명예연구위원,계량경제학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며 세계경제 개발을 위한 스탠퍼드센터 설립 이사와 세계은행 경제연구 부총재를 역임했다.
크루거 교수는 그러나 경기 회복세를 보이는 지금 시점에서 출구전략을 논의할 수는 있겠지만 실행 시점은 불확실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그는 “지금 출구전략을 논의하는 것은 괜찮지만 어느 시점에 어떤 형태와 방식으로 할지는 말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크루거 교수는 경제성장을 해치는 금융규제의 대표적인 사례로 대출 규제를 들었다.그는
“대출 즉 신용을 제한하면 대출자가 결국 안전한 자산으로 대출하며 이는 수익률이 적기 때문에 성장률을 저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크루거 교수는 자유무역이 빈익빈 부익부를 낳는다는 주장에 대해선 “자유무역으로 부유한 국가보다 빈국이 더 많은 혜택을 가질 것”이라고 반박했다.그는 “자유무역은 경쟁을 촉진하고 성장을 가져오며 제품의 질을 높인다”며 ”빈국은 경제규모가 작아 시장을 개방하지 않고는 이런 효율을 가져올 수 없다”고 경고했다.
크루거 교수는 선진국 위주의 국제통화기금(IMF) 체제 개혁에 대한 생각도 내비쳤다.그는“신흥국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더 많은 의결권을 줘야 하는데 IMF에서도 동의했고 이런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라며 “다만 누군가 지분을 포기해야 하는데 지분이 상대적으로 많은 유럽을 설득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고 문제점을 제시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
크루거 교수는 23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세계은행 개발경제회의(ABCDE)의 기조연설과 기자회견에서 이같은 의견을 밝혔다.그는 “인도는 1997년 한국의 외환위기와 같은 뚜 외환위기와 같은 뚜렷한 위기를 겪진 않았지만 계속 더딘 성장을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각국의 재정건전성 악화에도 불구하고 올 하반기 경제전망을 긍정적으로 하고 있다”며 “한국 경기도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1분기 성장률이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그는 이어서 “세계 경제와 중국 경제가 예상보다 빨리 회복된다면 한국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크루거 교수는 미국경제학회 명예연구위원,계량경제학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며 세계경제 개발을 위한 스탠퍼드센터 설립 이사와 세계은행 경제연구 부총재를 역임했다.
크루거 교수는 그러나 경기 회복세를 보이는 지금 시점에서 출구전략을 논의할 수는 있겠지만 실행 시점은 불확실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그는 “지금 출구전략을 논의하는 것은 괜찮지만 어느 시점에 어떤 형태와 방식으로 할지는 말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크루거 교수는 경제성장을 해치는 금융규제의 대표적인 사례로 대출 규제를 들었다.그는
“대출 즉 신용을 제한하면 대출자가 결국 안전한 자산으로 대출하며 이는 수익률이 적기 때문에 성장률을 저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크루거 교수는 자유무역이 빈익빈 부익부를 낳는다는 주장에 대해선 “자유무역으로 부유한 국가보다 빈국이 더 많은 혜택을 가질 것”이라고 반박했다.그는 “자유무역은 경쟁을 촉진하고 성장을 가져오며 제품의 질을 높인다”며 ”빈국은 경제규모가 작아 시장을 개방하지 않고는 이런 효율을 가져올 수 없다”고 경고했다.
크루거 교수는 선진국 위주의 국제통화기금(IMF) 체제 개혁에 대한 생각도 내비쳤다.그는“신흥국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더 많은 의결권을 줘야 하는데 IMF에서도 동의했고 이런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라며 “다만 누군가 지분을 포기해야 하는데 지분이 상대적으로 많은 유럽을 설득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고 문제점을 제시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