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보험사들이 오는 10월부터 의료비를 90%까지 보상해주는 실손형 민영의료보험 시장에 뛰어든다. 정부가 손해보험사 실손보험의 보상한도를 100%에서 90%로 낮추기로 한 데 맞춰 생 · 손보업계 간 시장쟁탈전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전망이다.

대형 생보사 고위 관계자는 "손보사와 경쟁하려면 생보사도 의료비의 90%를 보장해주는 실손보험을 판매할 수밖에 없다"며 "10월은 원래 경험요율 등을 반영해 상품을 개정하는 시기인 만큼 이 때에 맞춰 새 상품을 내놓겠다"고 23일 말했다. 실제 생보사 기획담당 임원들은 최근 생보협회에서 회의를 갖고 이 같은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생보사들은 주로 질병 진단이나 수술 시 정해진 액수를 보상하는 정액형 보험을 팔아오다 지난해부터 환자 본인이 부담한 의료비의 80%까지 보상해주는 실손보험을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손보사들의 100% 보상 상품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져 판매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생보사들이 금융감독원이 개발 중인 '실손 표준약관'에 따른 상품을 내놓을 경우 금감원의 사전인가나 신고도 필요없다. 김광수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국장은 "표준약관에 따른 상품은 사전인가 등이 필요없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은 보험사나 대리점 등이 실손보험을 부실하게 판매하는지 집중 단속에 돌입했다. 오는 10월 보장 한도 축소를 앞두고 일부 설계사,대리점이 소비자에게 제도 변경 이전에 가입할 것을 부추기는 등 절판 마케팅이 극성을 부릴 조짐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강영구 금감원 보험서비스본부장은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위법 · 부당 판매 행위가 드러나면 현장 검사를 통해 강력히 제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