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로봇 돌풍이 극장가를 뒤흔들 모양이다. 2007년 개봉됐던 '트랜스포머(Transformers)'의 속편 '트랜스포머:패자의 역습'이 개봉 첫날 50만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는 것이다. 추세대로라면 주말까지 300만명을 돌파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내용은 단순하다. 트랜스포머는 언제 어디서든 자유자재로 변신할 수 있는 외계 생명체.악한 디셉티콘 군단과 선한 오토봇 군단으로 갈라진 이들이 행성 폭발로 사라진 에너지원 '큐브'를 찾던 중 결정적 열쇠를 쥔 주인공 샘을 찾아 지구로 몰려와 싸운다는 얘기다.

할리우드 영화 특유의 미국식 영웅주의에 거부감을 느끼는 이들은 못마땅하고 보기 불편할지 모른다. 그래도 전편보다 더욱 뛰어난 컴퓨터그래픽 기술을 활용, 한층 화려해진 화면과 늘어난 로봇 및 웅장한 전투 장면은 이어지는 관객들의 발길을 쉽사리 돌려놓을 것 같지 않다.

만화같은 변신로봇 영화에 청소년뿐만 아니라 어른까지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양한 볼거리와 주인공의 승리에 따른 대리만족이 주 요인으로 꼽히지만 자유로운 변신에 대한 욕구,막강한 힘에 대한 갈망,여럿이 모여 좀더 강력해지는 합체(合體)에 대한 열망도 한몫하는지 모른다.

영화에서처럼 자동차로 변하는 로봇은 없어도 여건에 따라 모양을 바꾸는 로봇은 현실에도 존재한다. 미국 제록스연구소에서 만든 '폴리봇'은 평지에선 뱀처럼 움직이다 계단에선 4개의 다리로 걷고,서던캘리포니아대 '슈퍼봇'도 평평한 곳에선 굴러가다가 필요하면 2개나 4개의 다리를 내놓는다.

변신이 필요한 건 영화 속 외계 생명체에 그치지 않는다. 미국 자동차 3사의 몰락은 높은 임금과 과다한 복지에도 있지만 기름값 상승을 감안하지 않은 채 연비 낮은 SUV와 대형차 생산에 중점을 둔 탓이라고 한다. 변화의 중요성을 무시한 경영진의 근시안적 전략 때문이었다는 얘기다.

영원한 강자는 없고,세상은 무섭게 변한다. 기업을 비롯한 조직과 개인 모두 적절히 변신하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렵다. '삼팔육 사오정'에 떨 게 아니라 자신의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변해야 한다. 전문직도 마찬가지다. 의사 교수 변호사가 좋다지만 인구가 줄면 환자도,학생도,의뢰인도 준다. 직업도 앞날을 잘 내다보고 선택할 일이다.

박성희 수석논설위원 psh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