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권상정 머뭇거리는 김형오 의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與요구에 난색… 정치적 부담 '고민'
김형오 국회의장이 다시 고민에 빠졌다. 친정인 한나라당에서 쟁점법안의 직권 상정을 요구하고 있어서다.
전날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 직권 상정 요청에 일단 난색을 표했다. 하지만 30일 한승수 국무총리까지 법안 처리를 당부하기 위해 김 의장을 찾은 상황이다. 지난 12월과 4월 이미 두 차례 직권상정을 단행한 그로서는 또 한번 정치적 부담을 혼자 지는 게 싫은 눈치다.
안 원내대표는 전날 의원총회에서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직권상정이라도 해서 통과시켜 달라고 국회의장에게 하소연을 하겠다"고 말한 직후 의장실을 방문했다. 김 의장은 "대화는 내일까지도 돼야 하는 상황"이라며 "내일 일은 내일 생각하자"고 사실상 판단을 30일로 미뤘었다.
한나라당은 이날도 김 의장의 직권상정을 강력히 촉구했다. 환노위 한나라당 간사인 조원진 의원은 "비정규직법을 상정해 생기는 모든 문제는 내가 책임지겠다"며 "(추미애 환노위원장이) 오후 3시에도 계속 상정을 거부하거나 기피하면 내가 방망이(의사봉)를 잡겠다. 내가 뭇매를 맞더라도 비정규직의 아픔을 지겠다"고 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비정규직법을 직권상정했다가 역풍을 맞아 '본게임'인 미디어관련법 처리가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도 나온다. 자칫 민주당이 물리력을 동원해 결사 항전에 나설 명분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김정훈 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노동법은 이해관계가 예민하기 때문에 여야간 합의가 이뤄져야 처리할 수 있지 국회의장이 직권상정해 처리할 수 있는 법은 아니다"고 말하기도 했다.
차기현 기자 khcha@hankyung.com
전날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 직권 상정 요청에 일단 난색을 표했다. 하지만 30일 한승수 국무총리까지 법안 처리를 당부하기 위해 김 의장을 찾은 상황이다. 지난 12월과 4월 이미 두 차례 직권상정을 단행한 그로서는 또 한번 정치적 부담을 혼자 지는 게 싫은 눈치다.
안 원내대표는 전날 의원총회에서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직권상정이라도 해서 통과시켜 달라고 국회의장에게 하소연을 하겠다"고 말한 직후 의장실을 방문했다. 김 의장은 "대화는 내일까지도 돼야 하는 상황"이라며 "내일 일은 내일 생각하자"고 사실상 판단을 30일로 미뤘었다.
한나라당은 이날도 김 의장의 직권상정을 강력히 촉구했다. 환노위 한나라당 간사인 조원진 의원은 "비정규직법을 상정해 생기는 모든 문제는 내가 책임지겠다"며 "(추미애 환노위원장이) 오후 3시에도 계속 상정을 거부하거나 기피하면 내가 방망이(의사봉)를 잡겠다. 내가 뭇매를 맞더라도 비정규직의 아픔을 지겠다"고 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비정규직법을 직권상정했다가 역풍을 맞아 '본게임'인 미디어관련법 처리가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도 나온다. 자칫 민주당이 물리력을 동원해 결사 항전에 나설 명분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김정훈 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노동법은 이해관계가 예민하기 때문에 여야간 합의가 이뤄져야 처리할 수 있지 국회의장이 직권상정해 처리할 수 있는 법은 아니다"고 말하기도 했다.
차기현 기자 kh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