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서 정자 생산, 불임치료 새 장 열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英 뉴캐슬대 연구팀
영국 연구팀이 인간 줄기세포에서 정자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이에 따라 불임 치료에 획기적인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지만 한편으로는 윤리 · 종교적인 논란도 거셀 것으로 보인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8일 "영국 뉴캐슬대학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사람의 배아줄기세포에서 정자를 생산하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뉴캐슬대의 카림 나예르니아 연구팀장은 "줄기세포로부터 생산한 정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운동성과 기능성이 충만했다"고 말했다. 인간배아에서 남성 염색체를 가진 줄기세포를 채취해 시험관에서 특수 화학물질로 처리한 뒤 배양하자 일부 세포가 난자와 수정에 필요한 머리 및 헤엄치는 데 필요한 꼬리를 갖춘 움직이는 정자로 분화했다는 것이다. 뉴캐슬대 연구팀은 이 기술이 인공수정 등 남성 불임 치료가 가능할 정도로 완성 단계에 이르려면 5~10년가량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란 출신인 나예르니아 연구팀장의 인공 정자 연구는 한때 동성애 여성이 남자 없이도 아이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남성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나예르니아는"오해에서 기인한 것"이라며 "인공정자는 남성 염색체(XY)를 가진 줄기세포로만 만들 수 있다"고 해명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
파이낸셜타임스(FT)는 8일 "영국 뉴캐슬대학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사람의 배아줄기세포에서 정자를 생산하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뉴캐슬대의 카림 나예르니아 연구팀장은 "줄기세포로부터 생산한 정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운동성과 기능성이 충만했다"고 말했다. 인간배아에서 남성 염색체를 가진 줄기세포를 채취해 시험관에서 특수 화학물질로 처리한 뒤 배양하자 일부 세포가 난자와 수정에 필요한 머리 및 헤엄치는 데 필요한 꼬리를 갖춘 움직이는 정자로 분화했다는 것이다. 뉴캐슬대 연구팀은 이 기술이 인공수정 등 남성 불임 치료가 가능할 정도로 완성 단계에 이르려면 5~10년가량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이란 출신인 나예르니아 연구팀장의 인공 정자 연구는 한때 동성애 여성이 남자 없이도 아이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남성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나예르니아는"오해에서 기인한 것"이라며 "인공정자는 남성 염색체(XY)를 가진 줄기세포로만 만들 수 있다"고 해명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