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국가정보원 등을 대상으로 2차 DDoS공격이 감행되고 추가 3차 공격이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국정원은 국제공조를 통해 “DDoS공격자를 반드시 색출하겠다”고 강조했다.

국정원 국가사이버안전센터(NCSC)는 9일 “에너지 통신 등 국가 기반시설 및 전 언론사를 대상으로 3차 공격이 우려돼 국가전산망 보안관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24시간 비상대비태세를 가동하고 있다”고 밝혔다.국정원은 국내외 주요기관 등 26개 사이트 1차 공격에 사용된 해킹프로그램(msiexec2.exe)을 분석하고 백신프로그램을 개발해 국내 10여개 보안업체에 배포를 완료했다.

국정원은 이와 함께 “청와대 국방부 외교부 등 주요기관은 인터넷망과 내부 업부망이 완전히 분리돼 문서가 유출되거나 업무가 마비되는 그런 피해는 전혀 없다”며 “국민들이 지나친 불안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그러나 국내 정부 및 관련 기관 1800여개 중 내외부망이 분리되지 않은 곳이 대다수여서 이들이 추가 공격대상이 될 경우 중요 자료 유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국정원은 현재 해킹공격 근원지를 찾기 위해 미국 등 관련 국가에 공조를 요청한 상태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