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개국 86개 IP통해 사이버테러"…국정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6개국에 北 없으나 사이버테러 배후로 의심"
국가정보원은 10일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간담회에서 한미 주요 공공기관 홈페이지와 민간 사이트에 대한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과 관련," 미국과 일본, 과테말라, 중국 등 16개국의 86개 IP를 통해 사이버테러가 감행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정보위 여·야 간사에에 따르면 국정원은 16개국에는 북한이 포함돼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했으나 북한 조평통의 사이버스톰 비난 성명서 발표와 공격대상이 보수단체라는 점, 특정해커가 쓰는 수법 등으로 미뤄 북한 또는 추종세력이 사이버테러를 감행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16개국에는 북한이 없었고, 수사가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북한 또는 추종세력이 사이버테러를 감행했다고 확정적으로 이야기하기에 이르다"고 지적했다.
국정원은 아울러 지난 4일 한미 양국이 사이버테러의 첫 징후 파악했으며, 이날 오전 6시 현재 디도스 공격에 동원된 이른바 좀비 컴퓨터 가운데 전문가용 고급프로그램을 쓰는 26대의 컴퓨터가 파괴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국가정보원은 10일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간담회에서 한미 주요 공공기관 홈페이지와 민간 사이트에 대한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과 관련," 미국과 일본, 과테말라, 중국 등 16개국의 86개 IP를 통해 사이버테러가 감행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정보위 여·야 간사에에 따르면 국정원은 16개국에는 북한이 포함돼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했으나 북한 조평통의 사이버스톰 비난 성명서 발표와 공격대상이 보수단체라는 점, 특정해커가 쓰는 수법 등으로 미뤄 북한 또는 추종세력이 사이버테러를 감행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16개국에는 북한이 없었고, 수사가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북한 또는 추종세력이 사이버테러를 감행했다고 확정적으로 이야기하기에 이르다"고 지적했다.
국정원은 아울러 지난 4일 한미 양국이 사이버테러의 첫 징후 파악했으며, 이날 오전 6시 현재 디도스 공격에 동원된 이른바 좀비 컴퓨터 가운데 전문가용 고급프로그램을 쓰는 26대의 컴퓨터가 파괴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