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PC사용자들의 허술하기 짝이 없는 보안의식이 이번 사태를 자초(自招)했다. 이번 DDoS 공격은 기법이 단순하고 언제든 되풀이될 수 있지만,PC사용자들이 평소 백신을 업데이트만 해도 대부분 예방된다고 한다. 그런데도 수만대의 PC가 자신도 모른 채 악성코드에 무방비로 노출되면서 공격의 매개체인'좀비PC'가 된 것이 그것을 말해주고 있다.
둘째,국가 전체적인 사이버 보안체계의 취약성이다. 사이버보안 관련 예산만 해도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10년 전부터 IT예산의 10%가량을 보안분야에 투자하는 반면,우리는 1% 정도인 실정이다.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 또한 보안불감증이 만연해 있기는 마찬가지다. 국내 기업 가운데 방화벽(firewall)을 설치한 곳은 전체적으로 40% 수준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셋째,일관된 대응시스템이 미비한 문제다. 자칫 국가 중추신경망의 마비라는 위기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이번 사태가 발생한 뒤에도 통합적인 컨트롤타워 없이 국가정보원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관련 부처들이 저마다 다른 목소리를 내면서 우왕좌왕했다. 이런 상태로는 일이 터진 다음에야 사후약방문식으로 허겁지겁 대응하는 잘못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
사이버테러는 언제든 재발될 수 있고,나아가 국가기간전산망의 파괴 같은 안보적 위협에 놓일 가능성까지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번 사태를 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여 법 · 제도적 측면에서의 보다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예방 및 대응시스템 구축을 서둘러야 할 이유다. 각 부처에 흩어진 관련업무 재조정 등 유기적 협력체제를 갖추고,현재 9개월째 국회에 방치된 상태인 사이버위기관리법 제정을 위한 논의도 더 이상 미뤄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