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중소기업 36개사 '퇴출'…금감원,1차 신용위험평가 발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소기업 861곳에 대한 1차 신용위험평가에서 36개 업체가 D등급을 받아 퇴출될 전망이다. 퇴출 중소기업 명단은 공개되지 않았다.
C등급 업체 77개사에 대해서는 신속한 채권재조정 지원으로 회생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감독원은 15일 "18개 국내 은행이 여신규모 50억원 이상 500억원 미만의 외부감사법인 861개사를 대상으로 1차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C등급 77개와 D등급 36개 등 113개사가 구조조정 대상으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에서 C등급(부실징후기업)을 받은 곳은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가고 D등급(부실기업)은 퇴출당한다.
구조조정 대상기업 113사에 대한 은행권 여신 규모는 1조6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에 대한 기업개선작업이나 회생절차가 추진될 경우 은행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액은 28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채권은행들은 특히 C등급 업체에 대해 개정 채권은행협약을 적용해 신속한 대상기업 회생작업에 들어갈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3일 개정된 채권은행협약은 신속한 지원을 위해 협의 기간을 줄이고 워크아웃 사실이 외부로 알려져 대상기업이 이중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비밀보장이 강화됐다.
아울러 여신 30억원 이상 50억원 미만 외부감사법인 5300여개와 1차 평가대상 중 4300여개사에 대해 9월말까지 2차 신용위험평가가 실시된다.
금융감독당국은 "앞으로도 선제적인 구조조정의 적극 추진을 독려해 나갈 예정"이라며 "특히 은행 검사에서 C·D등급으로 분류하지 않은 업체가 부실화될 경우 여신 취급·심사 뿐만 아니라 신용평가 담당자에 대해서도 부실책임을 물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hankyung.com
C등급 업체 77개사에 대해서는 신속한 채권재조정 지원으로 회생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감독원은 15일 "18개 국내 은행이 여신규모 50억원 이상 500억원 미만의 외부감사법인 861개사를 대상으로 1차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C등급 77개와 D등급 36개 등 113개사가 구조조정 대상으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에서 C등급(부실징후기업)을 받은 곳은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가고 D등급(부실기업)은 퇴출당한다.
구조조정 대상기업 113사에 대한 은행권 여신 규모는 1조6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에 대한 기업개선작업이나 회생절차가 추진될 경우 은행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액은 28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채권은행들은 특히 C등급 업체에 대해 개정 채권은행협약을 적용해 신속한 대상기업 회생작업에 들어갈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3일 개정된 채권은행협약은 신속한 지원을 위해 협의 기간을 줄이고 워크아웃 사실이 외부로 알려져 대상기업이 이중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비밀보장이 강화됐다.
아울러 여신 30억원 이상 50억원 미만 외부감사법인 5300여개와 1차 평가대상 중 4300여개사에 대해 9월말까지 2차 신용위험평가가 실시된다.
금융감독당국은 "앞으로도 선제적인 구조조정의 적극 추진을 독려해 나갈 예정"이라며 "특히 은행 검사에서 C·D등급으로 분류하지 않은 업체가 부실화될 경우 여신 취급·심사 뿐만 아니라 신용평가 담당자에 대해서도 부실책임을 물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