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고용안정 토론회

내년부터 베이비붐 세대 정년퇴직자가 무더기로 쏟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근로자 10명 중 6명은 건강과 수명연장을 고려할 때 60세 이상까지 재직할 수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용자들이 노동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년연장에 보다 적극적인 입장을 보일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고령화 시대의 노사 상생의 해법은 '임금피크제'인 것으로 지적돼 관심을 모았다.

노무법인 산하(대표 김원기 공인노무사)는 16일 경기도 충주 수안보파크호텔에서 열린 '고령자 고용안정 컨설팅 사업 보고회 겸 토론회'를 통해 충북북부지역 48개 사업장, 1220명(일반조합원 1163명, 노조대표 33명, 사업장 대표 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같이 밝혔다.

이 조사에서 일반 조합원의 58%는 '회사의 입장을 생각하지 않고 재직근로자의 건강과 평균수명 연장만 고려할 경우 근로자들은 60세 이상까지 재직해야 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조대표자 중 재직가능 연령이 60세 이상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72.7%에 달했고, 사업장대표자의 58.3%도 이같이 응답했다.

또 '노동비용증가 최소화 방안이 있다면 사용자들이 정년연장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입장을 보일 것'이라는 응답비중은 일반조합원(79.6%)과 사업장대표자(75%), 노조대표자(66.7%) 모두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충모 노무사는 "내년부터 9년간 베이비붐 세대 300여만명이 무더기로 정년퇴직할 전망"이라며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볼 때 고령화 시대의 해법은 정년연장형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는 것"이라고 멀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노동연구원의 김정한 박사와 서울여대 경영학과 임효창 교수, DBM코리아 김주철 이사 등이 참석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