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파고스 신드롬'에 빠진 日 휴대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술 앞섰지만 내수만 치중 세계시장에선 맥 못춰
최신 기능을 두루 갖춘 일본 휴대폰이 세계 시장에서 맥을 못 추는 이유는 무엇일까?
뉴욕타임스는 20일 파나소닉 샤프 NEC 등 일본 업체들이 기술 혁신을 선도하며 최신 기능 휴대폰을 내놨지만 해외 시장에선 인기가 없다며 이는 일종의 '갈라파고스 신드롬'이라고 보도했다. 정보기술(IT) 컨설팅업체인 유로테크놀로지 재팬의 게르하르트 파솔 회장은 "일본 업체들은 국제표준을 기다리지 않고 각종 모바일 서비스를 3~4년 앞서 상용화했다"며 "그 결과 내수에만 치중하고 수출에선 고전을 면치 못하는 딜레마에 빠졌다"고 말했다. 다윈이 육지와 떨어진 갈라파고스 섬에서 본래 종과 다르게 진화한 생물들을 발견한 것처럼 일본 업체들도 자국 내에서만 팔리는 제품을 내놨다는 설명이다.
일본 휴대폰 기술은 1999년 이메일 서비스,2000년 카메라폰,2001년 3세대(3G) 네트워크,2002년 음악 내려받기,2004년 전자결제,2005년에는 디지털 서비스를 선보이며 시대를 앞서갔다. 2001년부터 3G 서비스를 시작한 일본에선 1억명이 3G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미국의 두 배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일본 휴대폰 내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해 별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내수가 포화에 이르면서 지금은 해외 시장에서 돌파구를 찾아야 할 상황이다. 문제는 그동안 CDMA(부호분할다중접속)나 GSM 등 해외에서 쓰는 통신 방식 제품군의 개발에 소홀해 시장 공략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일본 휴대폰업체들이 줄줄이 사업을 축소하고 소니에릭슨이 삼성전자나 LG전자에 뒤처진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
뉴욕타임스는 20일 파나소닉 샤프 NEC 등 일본 업체들이 기술 혁신을 선도하며 최신 기능 휴대폰을 내놨지만 해외 시장에선 인기가 없다며 이는 일종의 '갈라파고스 신드롬'이라고 보도했다. 정보기술(IT) 컨설팅업체인 유로테크놀로지 재팬의 게르하르트 파솔 회장은 "일본 업체들은 국제표준을 기다리지 않고 각종 모바일 서비스를 3~4년 앞서 상용화했다"며 "그 결과 내수에만 치중하고 수출에선 고전을 면치 못하는 딜레마에 빠졌다"고 말했다. 다윈이 육지와 떨어진 갈라파고스 섬에서 본래 종과 다르게 진화한 생물들을 발견한 것처럼 일본 업체들도 자국 내에서만 팔리는 제품을 내놨다는 설명이다.
일본 휴대폰 기술은 1999년 이메일 서비스,2000년 카메라폰,2001년 3세대(3G) 네트워크,2002년 음악 내려받기,2004년 전자결제,2005년에는 디지털 서비스를 선보이며 시대를 앞서갔다. 2001년부터 3G 서비스를 시작한 일본에선 1억명이 3G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미국의 두 배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일본 휴대폰 내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해 별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내수가 포화에 이르면서 지금은 해외 시장에서 돌파구를 찾아야 할 상황이다. 문제는 그동안 CDMA(부호분할다중접속)나 GSM 등 해외에서 쓰는 통신 방식 제품군의 개발에 소홀해 시장 공략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일본 휴대폰업체들이 줄줄이 사업을 축소하고 소니에릭슨이 삼성전자나 LG전자에 뒤처진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