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TSMC는 세계 1등 반도체 위탁생산업체(파운드리)다. 애플 아이폰에 들어가는 칩부터 인공지능(AI) 훈련에 필요한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까지 모두 TSMC에서 만든다. 1987년 설립됐을 때, 이 같은 미래를 예상한 이는 없었다. TSMC가 1994년 상장하자 대만 정부는 보유 주식을 상당 부분 매도했다. 설립 때 출자했던 네덜란드 전자회사 필립스는 2008년 TSMC 지분을 전량 처분했다. 1990년대 같은 대만 파운드리인 UMC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2010년대에는 삼성전자와 인텔과 맞붙었다. 특히 2014년 12월 삼성전자가 14나노 핀펫 공정이 양산 공정에 진입했다고 발표한 것은 커다란 위협이었다. 당시 TSMC의 주요 공정 기술은 16나노였다. 1년 후면 삼성에 14나노 주문을 빼앗길 것으로 예상됐다. 인텔도 10나노 기술 개발을 먼저 시작한 상태였다. <TSMC, 세계 1위의 비밀>은 TSMC의 성장 과정을 다룬 책이다. 약 30년 동안 반도체 산업을 취재한 대만 언론인 린훙원이 썼다. 자국 기업인 TSMC를 우호적인 시선으로 바라보지만 대만 반도체 산업이 세계 최고라는 국수주의적 태도에 빠져들지는 않는다. 대만에서도 지난해 출간된 이 책은 미·중 반도체 전쟁, TSMC의 미국 공장 건설 등 최근 상황까지 빠짐없이 다룬다. 2014년 삼성의 추격을 받았을 때 TSMC 창업자 모리스 창은 ‘나이트호크 프로젝트’를 꺼내 들었다. 반도체 연구·개발(R&D)을 24시간 3교대로 하는 프로젝트였다. 반도체 생산은 24시간 연중무휴로 돌아가지만, R&D의 24시간화는 세계 반도체 산업에서 처음 시도하는 일이었다. 반발이 없지 않았다. 하지만 TSMC에서 R&D는 ‘연구’보다 ‘개발’에 방
얼마 전 내가 진행하는 <오늘도 서초동>이라는 인터넷 방송에서 게스트로 초대된 손일훈 작곡가를 소개하며 그가 작곡한 <메디테이션(Meditation) II>이 세기말의 감성이 있어서, 마치 영화 중경삼림의 느낌 같은 감성에 매료되어서 내가 가끔 듣는다고 이야기했다.[손일훈 (Il Hoon Son) - Meditation II]21세기로 넘어가던 20여년 전 그 시절은 마치 그 세기의 변화처럼 나도 10대에서 20대로, 청소년에서 성인으로 넘어가는 때였었다. 세기말을 겪고 수능을 치르고 입시를 끝내고 나는 그동안 못했던 일들을 시작하였었다. 많은 영화를 대여해서 보며 울고 웃었었고 또한 빌려온 책들과 만화책들을 나만의 플레이리스트를 들으며 읽었었다.‘마마스 앤 파파스’의 ‘캘리포니아 드리밍(California Dreamin)’의 가사처럼 회색의 하늘이었고 어느 추운 겨울날 보게 된 왕가위 감독의 중경삼림, 봄이 찾아오기 전의 잿빛의 무거운 겨울날이었지만 이 영화가 그날의 하늘 모습과 공기의 냄새를 평생 기억하게 해주었다.[The Mama's And The Papa's - California Dreamin]경찰663(양이 종이컵의 블랙커피를 외로이 마시는 모습에, 그런 양조위가 마음에 조금씩 들어오는 점원 페이(왕페이)가 그를 알고 싶은 마음에 블랙커피를 마셔보는 장면을 통해서 나도 처음으로 블랙커피를 마신 날이었다. 아마 그 나이 때 나도 그 마음을 느끼고 싶었었나 보다. 분명 40대인 지금 그 영화를 본다면 나의 세기말 시절의 느낌과는 매우 다를 것이다.홍콩 어디서나 만날 수 있는 간이 음식점 ‘차찬텡’에서 이루어지는 이야기들, 간단한 음식들을 빨리 먹는 곳, 숨 가쁜 일상의 상징인 차찬은 극 중 두 남녀에게는 시간이 멈췄던 곳
가난에 맞서는 방법그림 속에는 어른이 넷, 아이가 다섯이다. 두 아이는 어른의 팔 위에 있고 세 아이는 서 있다. 흰 천에 싸인 아이는 튀어나온 눈으로 두려움에 떨며 세상을 바라보고 있고 흡사 유령 같다. 다른 팔에 안긴 아이는 등뼈가 훤히 보인다. 기본적인 위생 시설이 없는 지역 주민들에게 흔하게도 아이들 배는 물이 차 부풀어 올라와 있다. 그들 뒤로 건조하고 생명 없는 풍경이 펼쳐진다.바위와 뼈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고 지평선에 보이는 것은 거의 불분명한 산의 윤곽뿐이다. 지평선은 맑으나 하늘은 어둡고, 죽음을 기다리듯 가족을 둘러싸고 있는 검은 새들이 가득하다. 아이들의 눈빛은 아득하고 쓸쓸하고 어른들의 표정은 절망에 가깝다. 정면을 응시하는 남자의 시선 때문에 이 그림은 초상화 같기도 하다. 모두가 맨발이고 고단하다. 크게 눈 뜬 이에게 남겨진 것은 그저 도움을 구하는 것뿐, 다른 의지는 읽히지 않는다. <피난민들>은 포르치나리가 1944년에 그린 것으로 <죽은 아이>와 짝을 이룬다. 이 작품에서 그는 생존을 위해 자신의 출신지를 떠나는 브라질의 슬픈 현실인 ‘북동부 이주’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식민지 시대 사탕수수 생산이 수출 목록에서 두각을 나타냈을 때, 이 지역은 브라질에서 가장 번영했으나 사탕수수 농업의 수익성이 끝난 이후 경제적으로 쇠퇴했다. 농업 다각화 실패로 인한 경제 침체와 대지주로의 소득 집중, 지속적인 가뭄이 북동부 이주의 시작이었다.193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브라질의 산업화가 절정에 달하면서 남동부 지역, 특히 상파울루주와 리우데자네이루주로 이주가 활발해졌다. 북동부 주민이 리우데자네이루 같은 풍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