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내에서 씨티그룹의 1억달러 연봉 지급 계획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백악관이 구제금융을 받은 기업의 고액 연봉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다우존스 뉴스와이어에 따르면 로버트 기브스 백악관 대변인은 27일 씨티그룹 계열사 임원이 1억달러의 연봉을 요구한 것에 대해 “누구라도 이는 상식을 벗어난 일이라고 결론내릴 것”이라고 밝혔다.기브스 대변인은 “다른 사람이 대체할 수 없을 만큼 탁월한 경영 노하우를 가진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되겠느냐”면서 “오바마 대통령도 이렇게 고액연봉의 당위성을 주장하는 논리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경영 노하우를 대체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고액연봉을 지불해야 한다는 월가의 논리를 일축한 것이다.

이번 논란은 씨티그룹 에너지트레이딩 부문인 필브로의 앤드루 홀 이사가 씨티그룹과 맺은 수익분배 계약에 따라 올해 약 1억달러의 연봉을 요구하면서 시작됐다.정부로부터 450억달러의 천문학적 구제금융을 받은 씨티그룹이 이처럼 고액연봉을 지급해도 되느냐는 게 논란의 핵심이다.

미 재무부의 급여문제 특별관인 케네스 파인버그가 이 문제를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일명 ‘급여 차르’인 파인버그는 거액의 구제금융을 받은 기업 경영진의 연봉이 능력에 맞게 책정됐는지를 분석해 연봉을 낮춰 재계약하도록 압박할 방침이다.이와 관련,씨티그룹 AIG 뱅크오브아메리카(BOA) 크라이슬러 크라이슬러파이낸셜 GM GMAC파이낸셜서비스 등 7개사는 연봉 상위 100명의 리스트를 내달 13일까지 재무부에 제출해야 한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