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억 있어야 부자"…한길리서치연구소 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기침체로 부자 기준도 5억원 하향
우리나라 국민은 30억원 정도의 재산이 있어야 부자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지난해 부자의 기준 재산액이 35억870만원인 점을 감안할 때 경기침체가 부자 기준을 낮춘 것으로 분석됐다.
29일 한길리서치연구소에 따르면 이 회사가 지난 25, 26일 이틀간 전국의 19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한 결과, 현금과 부동산, 주식 등을 합해 30억2400만원의 자산을 보유해야 부자가 될 수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부자의 자산 기준은 지난 2006년 20억원3000만원이었다가 이듬해 27억6000만원, 지난해 35억870만원 등으로 해마다 약 7억원씩 증가했지만, 올해는 오히려 5억원 정도 떨어졌다.
이는 경제 위기로 말미암아 일반 시민이 생각하는 부자의 자산 기준이 낮아졌기 때문으로 한길리서치연구소는 분석했다.
자신이 부자가 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별로 가능성이 없다'나 '전혀 가능성이 없다'를 선택한 응답자가 전체의 62%였으며, 매우 또는 조금 가능성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36.7%였다.
부자에 대한 희망은 연령이 높을수록 낮았고, 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불가능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기업 관련 규제가 많이 풀렸지만 기업의 고용과 투자 노력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이 많아 62.2%가 '노력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으며 '노력하고 있다'는 응답은 29.2%에 그쳤다.
사회 지도층의 '노블레스 오블리주'에 대한 인식도 좋지 않아 '상위층이 기부하지 않는다'는 응답자가 73%인데 반해 '매우 많이 또는 조금 하고 있다'를 선택한 응답자는 22%에 불과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우리나라 국민은 30억원 정도의 재산이 있어야 부자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지난해 부자의 기준 재산액이 35억870만원인 점을 감안할 때 경기침체가 부자 기준을 낮춘 것으로 분석됐다.
29일 한길리서치연구소에 따르면 이 회사가 지난 25, 26일 이틀간 전국의 19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한 결과, 현금과 부동산, 주식 등을 합해 30억2400만원의 자산을 보유해야 부자가 될 수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부자의 자산 기준은 지난 2006년 20억원3000만원이었다가 이듬해 27억6000만원, 지난해 35억870만원 등으로 해마다 약 7억원씩 증가했지만, 올해는 오히려 5억원 정도 떨어졌다.
이는 경제 위기로 말미암아 일반 시민이 생각하는 부자의 자산 기준이 낮아졌기 때문으로 한길리서치연구소는 분석했다.
자신이 부자가 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별로 가능성이 없다'나 '전혀 가능성이 없다'를 선택한 응답자가 전체의 62%였으며, 매우 또는 조금 가능성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36.7%였다.
부자에 대한 희망은 연령이 높을수록 낮았고, 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불가능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기업 관련 규제가 많이 풀렸지만 기업의 고용과 투자 노력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이 많아 62.2%가 '노력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으며 '노력하고 있다'는 응답은 29.2%에 그쳤다.
사회 지도층의 '노블레스 오블리주'에 대한 인식도 좋지 않아 '상위층이 기부하지 않는다'는 응답자가 73%인데 반해 '매우 많이 또는 조금 하고 있다'를 선택한 응답자는 22%에 불과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