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유성 행장 "대우건설 국내 인수의향사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삼구 회장이 금호 구조조정 챙겨
GM대우 지원문제 내달말 윤곽
GM대우 지원문제 내달말 윤곽
민유성 산업은행장(사진)은 30일 "박삼구 · 찬구 회장 동반 퇴진에도 불구하고 금호아시아나 그룹의 구조조정에는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대우건설 매각에 대해서는 "국내 인수 의향자들이 몇 군데 있다"며 낙관했다. 민 행장은 이날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선박펀드 출범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경영 일선 퇴진과 관련,"그룹 내 의사결정이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며 구조조정에 긍정적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또 "구조조정이 진행되려면 앞으로 계열사 간 유기적인 관계가 중요하기 때문에 (그룹 의사결정 구조 변화가) 일찍 정리된 것이 낫다"고 설명했다.
민 행장은 특히 "박 회장이 구조조정까지는 챙기게 될 것"이라고 강조,대주주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다할 것이라는 박 회장의 발언을 뒷받침했다. 두 사람은 최근 들어 수차례 전화통화를 갖고 향후 그룹의 구조조정 진행 방향과 일정 등에 대해 협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산은은 이번 사태와 관련,주채권은행이긴 하지만 개별 그룹의 지배구조에까지 관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중립적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민 행장은 대우건설 매각 전망에 대해 "국내에서도 인수 의향을 가진 곳이 몇 군데 있다"고 언급,사전 수요 조사가 효과가 있었음을 시사했다. 그는 "대우건설의 분리 매각은 고려하고 있는 대안이 아니다"면서 "일주일 정도 실사를 더 진행한 뒤 투자제안서(IM)를 발송하고 매각공고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대우건설 잠재적 인수 후보로는 포스코와 롯데,현대중공업,한화,LG,효성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아직 인수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 곳은 없다. 미국 건설사 등 외국에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GM대우의 유동성 지원 방안과 관련,민 행장은 "다음 달 말께 지원 여부와 방법,GM 본사와 채권단 양측의 참여 정도 등에 대해 결정이 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쌍용차에 대해서는 "현재 법원이 결정권을 갖고 있기 때문에 채권단이 먼저 나설 수 있는 입장이 아니다"며 "법원과 긴밀히 논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동부메탈의 산은 구조조정펀드(PEF) 인수에는 "동부그룹과의 가격 협상이 막바지에 있다"면서 "가능한 빨리 합리적인 타협점을 찾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 행장은 산은이 대주주로 있는 대우조선해양 매각 작업을 재개할 뜻도 밝혔다. 그는 "현재 하이닉스 매각이 추진 중이고 대우건설도 매물로 나온 만큼 대형 매물이 중복되지 않도록 매각 작업을 진행할 것"이라며 "이들 기업의 매각이 끝나면 대우조선해양을 가장 빠른 시일 내에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건설은 산은에서 분리되는 정책금융공사(KPBC)의 자산으로 넘어가 공사에서 처분 작업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
민 행장은 특히 "박 회장이 구조조정까지는 챙기게 될 것"이라고 강조,대주주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다할 것이라는 박 회장의 발언을 뒷받침했다. 두 사람은 최근 들어 수차례 전화통화를 갖고 향후 그룹의 구조조정 진행 방향과 일정 등에 대해 협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산은은 이번 사태와 관련,주채권은행이긴 하지만 개별 그룹의 지배구조에까지 관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중립적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민 행장은 대우건설 매각 전망에 대해 "국내에서도 인수 의향을 가진 곳이 몇 군데 있다"고 언급,사전 수요 조사가 효과가 있었음을 시사했다. 그는 "대우건설의 분리 매각은 고려하고 있는 대안이 아니다"면서 "일주일 정도 실사를 더 진행한 뒤 투자제안서(IM)를 발송하고 매각공고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대우건설 잠재적 인수 후보로는 포스코와 롯데,현대중공업,한화,LG,효성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아직 인수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 곳은 없다. 미국 건설사 등 외국에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GM대우의 유동성 지원 방안과 관련,민 행장은 "다음 달 말께 지원 여부와 방법,GM 본사와 채권단 양측의 참여 정도 등에 대해 결정이 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쌍용차에 대해서는 "현재 법원이 결정권을 갖고 있기 때문에 채권단이 먼저 나설 수 있는 입장이 아니다"며 "법원과 긴밀히 논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동부메탈의 산은 구조조정펀드(PEF) 인수에는 "동부그룹과의 가격 협상이 막바지에 있다"면서 "가능한 빨리 합리적인 타협점을 찾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 행장은 산은이 대주주로 있는 대우조선해양 매각 작업을 재개할 뜻도 밝혔다. 그는 "현재 하이닉스 매각이 추진 중이고 대우건설도 매물로 나온 만큼 대형 매물이 중복되지 않도록 매각 작업을 진행할 것"이라며 "이들 기업의 매각이 끝나면 대우조선해양을 가장 빠른 시일 내에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건설은 산은에서 분리되는 정책금융공사(KPBC)의 자산으로 넘어가 공사에서 처분 작업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