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노사협상 '진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심야 교섭…정리해고 입장차
쌍용자동차 노사가 30일 평택공장 장기 점거사태를 풀기 위한 협상에 나섰지만 정리해고를 둘러싼 입장 차이로 진통을 겪었다.
쌍용차 노사는 이날 오전 9시10분께부터 평택공장 본관과 도장공장 사이에 임시로 설치한 두 개 컨테이너에서 가진 교섭에서 노조의 정리해고 원칙 수용 여부를 놓고 팽팽히 대립,두 차례 정회 끝에 밤 10시부터 심야협상을 벌였다. 회사 측은 회사 생존을 위해 정리해고의 큰 원칙을 받아들일 것을 주문했지만,노조 측은 무급휴직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지난달 19일 2차 노사대화가 결렬된 지 42일 만에 재개된 협의에는 사측에서 박영태 공동관리인 등 3명,노조 측에서 한상균 금속노조 쌍용차지부장 등 4명 등 모두 7명이 참석했다.
쌍용차는 지난달 정리해고된 976명을 일괄 퇴직시키는 대신 △희망퇴직 450명 △분사 및 영업직 전환 320명 △무급 휴직 200명 등으로 나눠 인사조치할 수 있다는 양보안을 노조에 보냈다. 쌍용차 관계자는 "공동관리인과 노조 지부장 간의 본협의와 노사 양측 실무자 간의 실무협의를 병행하면서 4~5건의 안건을 놓고 의견을 조율했다"며 "노조 측에서 사측이 양보할 것을 고집해 쉽게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평택=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
쌍용차 노사는 이날 오전 9시10분께부터 평택공장 본관과 도장공장 사이에 임시로 설치한 두 개 컨테이너에서 가진 교섭에서 노조의 정리해고 원칙 수용 여부를 놓고 팽팽히 대립,두 차례 정회 끝에 밤 10시부터 심야협상을 벌였다. 회사 측은 회사 생존을 위해 정리해고의 큰 원칙을 받아들일 것을 주문했지만,노조 측은 무급휴직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지난달 19일 2차 노사대화가 결렬된 지 42일 만에 재개된 협의에는 사측에서 박영태 공동관리인 등 3명,노조 측에서 한상균 금속노조 쌍용차지부장 등 4명 등 모두 7명이 참석했다.
쌍용차는 지난달 정리해고된 976명을 일괄 퇴직시키는 대신 △희망퇴직 450명 △분사 및 영업직 전환 320명 △무급 휴직 200명 등으로 나눠 인사조치할 수 있다는 양보안을 노조에 보냈다. 쌍용차 관계자는 "공동관리인과 노조 지부장 간의 본협의와 노사 양측 실무자 간의 실무협의를 병행하면서 4~5건의 안건을 놓고 의견을 조율했다"며 "노조 측에서 사측이 양보할 것을 고집해 쉽게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평택=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