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어빵 아저씨에게 위안얻고 한국형 헬기 개발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한국형 기동헬기(KUH)가 31일 출고되기까지 그 과정은 그리 순탄치 않았다.세계 11번째 헬기개발 국가로 자리매김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부품,경험 등이 전무한 상태에서 도전했기 때문에 난관과 시행착오가 적지 않았던 것.
헬기의 핵심인 ‘로터 블레이드’개발은 가시밭길이었다.헬기가 비행할 수 있도록 양력을 발생시키는 구성품인 로터 블레이드는 전 세계적으로 기술 이전이나 공개가 극히 제한돼 있다.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 기술을 제공하는 유로콥터사는 프랑스어 문서를 영어로 번역해야 한다는 등의 갖은 핑계로 기술 이전을 기피하고 심지어는 기술이전 협약에 나와 있는 합의사항 조차 지키지 않았다.KAI의 문장수 책임연구원은 “2007년 초 프랑스의 유로콥터 담당자에게 사정해 겨우 기술자료가 담긴 CD를 얻을 수 있었다”며 “그러나 뒤늦게 유로콥터의 보안담당자가 공항까지 쫓아와 CD를 빼앗아 갔다”고 소개했다.
블레이드를 개발하려면 몰드(일명 붕어빵틀)와 오토클레이브(붕어빵 기계)제작이 필수적인데 유로콥터 기술자들의 비협조로 번번이 실패한 것.문 책임연구원은 “사천 버스터미널 앞을 지나다가 붕어빵 가게에 들른 적이 있는데 3개월 정도 숙련해야 제대로 된 붕어빵을 구울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붕어빵도 제대로 구으려면 3개월이 걸리는데 최신 복합재 블레이드 제작에서 한번의 실패로 좌절해선 안 된다는 생각으로 용기를 다시 냈다”고 말했다.
KAI는 길이 7m,무게 90kg의 블레이드를 세계에서 10번째로 개발했다.또 헬기가 최상의 비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비인 ‘상태감시장치’(HUMS)를 개발,프랑스의 기술자들을 놀라게 하기도 했다.이 장비는 프랑스의 GEA와 협력개발키로 약정이 되어 있으나 프랑스측이 역시 기술이전에 소극적이었다.KAI는 협력업체인 ‘위다스’와 손잡고 2년6개월 만에 이 장치를 개발했다.
군 관계자들은 연구원들의 이런 피땀 어린 노력과 도전정신이 있었기 때문에 개발에 착수한 지 38개월 만에 쾌거를 이룰 수 있었다고 평가하고 있다.출산 휴가를 마치고 복직 여부를 고민하다가 결국 KUH개발팀에 합류했다는 김세희 선임연구원은 “20년 후 군대에 가게될 아들에게 엄마가 만든 헬리콥터라는 것을 자랑하고 싶다”며 “헬리콥터를 만드는 엄마로 남게 되어 가슴 뿌듯하다”고 소감을 피력했다.
김태철 기자 synergy@hankyung.com
헬기의 핵심인 ‘로터 블레이드’개발은 가시밭길이었다.헬기가 비행할 수 있도록 양력을 발생시키는 구성품인 로터 블레이드는 전 세계적으로 기술 이전이나 공개가 극히 제한돼 있다.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 기술을 제공하는 유로콥터사는 프랑스어 문서를 영어로 번역해야 한다는 등의 갖은 핑계로 기술 이전을 기피하고 심지어는 기술이전 협약에 나와 있는 합의사항 조차 지키지 않았다.KAI의 문장수 책임연구원은 “2007년 초 프랑스의 유로콥터 담당자에게 사정해 겨우 기술자료가 담긴 CD를 얻을 수 있었다”며 “그러나 뒤늦게 유로콥터의 보안담당자가 공항까지 쫓아와 CD를 빼앗아 갔다”고 소개했다.
블레이드를 개발하려면 몰드(일명 붕어빵틀)와 오토클레이브(붕어빵 기계)제작이 필수적인데 유로콥터 기술자들의 비협조로 번번이 실패한 것.문 책임연구원은 “사천 버스터미널 앞을 지나다가 붕어빵 가게에 들른 적이 있는데 3개월 정도 숙련해야 제대로 된 붕어빵을 구울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붕어빵도 제대로 구으려면 3개월이 걸리는데 최신 복합재 블레이드 제작에서 한번의 실패로 좌절해선 안 된다는 생각으로 용기를 다시 냈다”고 말했다.
KAI는 길이 7m,무게 90kg의 블레이드를 세계에서 10번째로 개발했다.또 헬기가 최상의 비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비인 ‘상태감시장치’(HUMS)를 개발,프랑스의 기술자들을 놀라게 하기도 했다.이 장비는 프랑스의 GEA와 협력개발키로 약정이 되어 있으나 프랑스측이 역시 기술이전에 소극적이었다.KAI는 협력업체인 ‘위다스’와 손잡고 2년6개월 만에 이 장치를 개발했다.
군 관계자들은 연구원들의 이런 피땀 어린 노력과 도전정신이 있었기 때문에 개발에 착수한 지 38개월 만에 쾌거를 이룰 수 있었다고 평가하고 있다.출산 휴가를 마치고 복직 여부를 고민하다가 결국 KUH개발팀에 합류했다는 김세희 선임연구원은 “20년 후 군대에 가게될 아들에게 엄마가 만든 헬리콥터라는 것을 자랑하고 싶다”며 “헬리콥터를 만드는 엄마로 남게 되어 가슴 뿌듯하다”고 소감을 피력했다.
김태철 기자 synerg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