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펀드환매하면 싸게 팔고 비싸게 사는 '뒷북투자' 우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금 펀드환매를 하면 싸게 팔고 비싸게 사는 '뒷북투자'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삼성증권은 10일 '삼성투자가이드'를 통해 최근 국내 주식형펀드의 환매가 거세지고 있는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우려감을 표시했다.
국내 주식형펀드는 지난 7월에만 환매금액 9600억을 포함해 1조원이 넘게 빠져나갔다.
이는 지난해 지수급락에서 경험한 공포감으로 인해 원금회복에 대한 보상심리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단기적으로 지수는 급등했지만 체감경기지수는 투자자들에게 추가상승에 대한 확신을 줄 정도는 아니라는 점 등도 환매를 부추겼다는 설명이다.
그렇지만 국내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의 흐름에 5~6개월 후행했다는 지적이다.
투자자들은 지수의 방향성과 경기에 대한 확신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에 투자하는 성향을 보여왔다는 것. 다시말해 단기적인 관점으로 차익실현 한 뒤, 투자자금이 집중되는 지수의 고점에 다시 투자한다는 이야기다.
이 증권사 김태훈 투자전략팀 연구원은 "일반 투자자들은 고점에서 열광하면서 확신을 갖고 투자하고, 저점에서는 공포와 후회로 환매하는 모습을 경험했다"며 "이번에는 펀드투자의 후행성으로 인한 실수가 반복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달라진 시장상황과 외국인의 지속적인 순매수를 감안할 때, 환매보다는 분명한 목적을 갖고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일정부분의 주식형포지션은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김하나 기자 hana@hankyung.com
삼성증권은 10일 '삼성투자가이드'를 통해 최근 국내 주식형펀드의 환매가 거세지고 있는 것과 관련 투자자들에게 우려감을 표시했다.
국내 주식형펀드는 지난 7월에만 환매금액 9600억을 포함해 1조원이 넘게 빠져나갔다.
이는 지난해 지수급락에서 경험한 공포감으로 인해 원금회복에 대한 보상심리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단기적으로 지수는 급등했지만 체감경기지수는 투자자들에게 추가상승에 대한 확신을 줄 정도는 아니라는 점 등도 환매를 부추겼다는 설명이다.
그렇지만 국내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의 흐름에 5~6개월 후행했다는 지적이다.
투자자들은 지수의 방향성과 경기에 대한 확신이 보다 분명해진 다음에 투자하는 성향을 보여왔다는 것. 다시말해 단기적인 관점으로 차익실현 한 뒤, 투자자금이 집중되는 지수의 고점에 다시 투자한다는 이야기다.
이 증권사 김태훈 투자전략팀 연구원은 "일반 투자자들은 고점에서 열광하면서 확신을 갖고 투자하고, 저점에서는 공포와 후회로 환매하는 모습을 경험했다"며 "이번에는 펀드투자의 후행성으로 인한 실수가 반복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달라진 시장상황과 외국인의 지속적인 순매수를 감안할 때, 환매보다는 분명한 목적을 갖고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일정부분의 주식형포지션은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김하나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