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휴대폰 통화료 수준이 2007년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커뮤니케이션 아웃룩 2009'에 따르면 한국의 이동통신 요금은 2007년 대비 약 14% 인하됐으나,일본 스웨덴 네덜란드 등 주요국에 비해서는 여전히 비쌌다.

OECD는 2년마다 30개 회원국의 이동전화 가입자 평균 통화량을 분석해 최저요금(가장 낮은 국가가 1위)을 산출,발표하고 있으며 순위가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요금이 비싸다.

소량 이용자 요금(음성통화 월 44분 기준) 순위는 2년 전 24위에서 25위로,중량 이용자 요금(114분 기준)은 10위에서 19위로,다량 이용자 요금(246분 사용)은 11위에서 15위로 각각 하락했다. 중량 이용자 요금의 경우 386달러에서 340달러로 떨어졌으나 OECD 평균 330달러보다 높았다. 다만 다량 이용자 요금(463달러)은 OECD 평균 506달러를 밑돌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OECD가 회원국 1,2위 사업자의 약관상 표준요금만을 비교해 할인요금제가 발달한 우리의 요금 수준이 실제 지불액보다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방통위는 그러나 이동전화 요금 수준이 높게 나타난 만큼 통신사들의 자발적인 요금 인하를 추진하기로 했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